가장 먼 길

 

  참 오랜 만이다. 나만의 시간을 가져보는 것이. 이 경우 '나만의 시간'이란 모니터 앞에서 글쓰기를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단 한 줄의 글이라도 건지기 위해 의자에 앉는다.  게으름을 물리치고 발딱 일어나 책상 앞으로 가는 길은 멀고도 험하다. 글 좀 쓰고 싶다는 욕구는 매번 내 안의 악마와의 싸움에서 백전백패기 일쑤였다. 쓰고 싶다는 열망과 쓰는 행위의 간극은 히말라야의 크레바스처럼 깊고 아득하기만 했다. 어느 작가가 말했단다. 침대에서 일어나 글을 쓰기 위해 책상 앞으로 가는 길이 가장 먼 길이라고. 잘 쓰고 못 쓰고를 떠나 쓴다는 행위 자체가 얼마나 힘겨운지를 말해준다. 절로 공감한다.  

 

  평생의 과업처럼 글쓰기의 중요성을 깨치면서도 정작 진득하니 엉덩이 붙이고 쓰는 일에 집중하지 못했다. 게으름 탓이다. 그 어떤 면죄부도 얻을 수 없는 명백한 자기 발전의 적 게으름. 그걸 잘 알면서도 넘어서지 못하고 핑계거리만 찾았다. 백수과로사한다는 시쳇말처럼 속으로 온갖 바쁜 척을 해댔다. 생활인으로서 품위유지비도 벌어야 하고, 사회 구성원으로서 주어진 책임감도 완수해야 하고, 주부로서 집안일도 건사하는 척은 해야 하고. 변명조차 되지 않는 이런 핑계들은 내 박약한 의지의 이음동의어에 지나지 않는다. 

 

   어떤 일이든 습관이 성패의 반을 좌우한다. 고백하건대, 나는 아직 쓰는 습관에 제대로 길들여지지 않았다. 꾸준히 쓰는 것이 내게 정착되지 않은 것은 뒤집어 말하면 내 글쓰기 욕구가 그만큼 절실하지 않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위안처럼 시작한 글쓰기가 작은 별, 아니 숨은 별 하나라도 되어 반짝이게 하지는 못할 망정 욕망의 덩어리로 나를 짓누르게 해서는 아니 될 일이지. 절절한 욕구는 순정한 목표를 낳고, 그 목표는 좋은 습관을 낳고, 그 습관은 좋은 결실을 맺는다. 

 

  새해다. 새로운 결심처럼 내 안의 허영덩어리 하나 해처럼 불쑥 솟는다. 실은  새로울 것도 없는 그 덩어리가 내 몸이, 내 맘이 원하는 절절한 쓰기의 실체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침대에서 글 쓰는 책상까지의 거리가 가장 먼 길이 아니라 조금은 가까운 길이 되길 바라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꼼미 2012-01-20 03: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 제 게으름을 함께 채찍질 해주신 팜므님. 어찌 감사하다는 말로 다 표현 하겠어요. 기억해 주신것만으로도 새해 큰 선물. 페이스북과 블로그질에 서재는 멀리하고 있지만, 새해 맞으면서 팜므님과 똑같은 마음이었네요. 매일 매일 영문 책 한 권을 붙들고 씨름하고 있는 중이지요. 필사 하면서^^; 위의 글 잘 읽고, 반갑게 나누고 갑니다. 혹시나 하고 블로그 주소 살짝 놓고 갑니다. 팜므님 서재 자주 들릴께요~ 글 열심히 쓰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