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이창연 작, 바다 이야기 시리즈 중에서> 

 

 

  베레모를 쓰지 않은 선생님은 상상할 수도 없었다. 간혹 두피에 땀이 챌 때나 엉긴 이마머리칼을 정리하기 위해 모자를 고쳐 쓴 적은 있었다. 하지만 결코 사람들 앞에서 모자를 벗어 보인 적은 없었다.

  어느 날 한 수강생이 물었다. 왜 빵모자를 쓰시냐고. 당연한 대답이 나올 줄 알았다. 작업에 몰두하다 보면, 치장 자체도 거추장스러우니 편리를 위해 모자를 찾는다는 그런 대답. 하지만 내 예상은 빗나갔다. 선생님은 ‘단 한 순간도 화가라는 것을 잊지 않기 위해 모자를 쓴다’라고 답하셨다. 흔히 ‘화가 빵모자’로 불리는 베레모는 선생님께는 자신을 향한 채찍이자 정체성을 확인하는 매개체였다. 다시 말해 선생님의 자존심이자 예술혼의 상징이었다.

  진정한 예술가였던 선생님은 얼마 전 하늘나라로 떠나셨다. 

  화단뿐만 아니라 예술계에 많은 아쉬움을 남기고 먼저 가신 선생님은 내 초등학교 은사셨다. 내가 초등학교 4학년 때, 갓 스물을 넘겼을 선생님은 초임 발령지로 우리학교에 오셨다. 삼십 년이 훨씬 지났지만 우리반 담임이셨던 선생님 모습은 아직도 생생하다. 책이 귀하던 그 시절 선생님은 아침마다 동화책을 읽어주셨다. 선생님 덕분에 ‘엄마 찾아 삼만 리’(에드몬도 데 아미치스)의 마르코는 어린 내 상상력을 자극하던 친구가 되어주었다. 이탈리아에서 대서양을 건너 저 먼 아르헨티나까지, 오직 엄마를 찾아 떠나던 마르코의 험난한 여행기를 선생님은 실감나는 톤으로 구연했다. 하숙방 한 벽면을 장식했던, 약관에 공모전에 입상한 솟을대문 그림도 잊을 수 없다. 어린 우리들에게 선생님은 신세계이자 경이 그 자체였다. 하지만 일 년 만에 전근을 가신 뒤, 선생님을 까맣게 잊고 살았다.

  십여 년 전, 그림에 대한 막연한 호기심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한 문화센터에서 선생님과 해후했다. 지도강사와 수강생으로 다시 만난 것이다. 꿈에서조차 생각지 못한 만남이었다. 다시 만난 선생님은 그야말로 나의 사표였다. 어쩌다 공식적으로 만날 기회가 있으면 꼭 따로 할 이야기를 쟁여놓으신 듯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으셨다. 늦게까지 술잔을 마주해도 취하는 법이 없었다. 언제나 꼿꼿한 모습이셨다. 취한 사람 상대하지 마라. 시류에 휩쓸리지 마라, 뜻대로 안 된다고 너무 힘겨워하지 마라, 올곧음을 항상 마음에 새겨라. 스승은 언제나 옳은 말만 하는 잔소리꾼이셨다. 나는 그 말씀들이 싫지 않았다. 내게 하는 훈육의 형식이었지만, 선생님 스스로를 담금질하는 내면의 소리로 알아들었기 때문이다.

  선생님 그림이 주목 받기 시작했을 땐 그 누구보다도 기뻤다. 선생님 그림의 주제는 한마디로 고독이었다. 감상하는 이 누구도 그것을 느낄 수 있을 만큼 화폭엔 정갈한 구체성이 담겨 있었다. 담대한 여백과 잎 없는 큰나무줄기는 허무와 내면의 고독을 말해주는 상징 코드 같은 것이 돼버렸다. 잎조차 없는 도시의 나무들, 한 방향으로 세찬 바람결을 맞는 소나무 등에서 나는 개별자 안에 서성이는 불안들을 감지하곤 했다. 캔버스의 반을 차지하는 흰 이불 호청이 주는 순백의 공허, 뒷짐 지고 허리 구부러진, 한낮의 적요를 감내하는 할머니, 무료한 해변의 적막을 견디는 소년, 그 뒤를 앞서거나 뒤따르는 누렁이와 흰둥이. 선생님 그림에 등장하는 구체적 대상들은 온전한 고독에 이르는 한 예술가의 막막한 고통을 대변하고 있었다.   

  지난 가을, 병세가 완연해진 선생님을 찾아뵈었다. 그것이 내가 본 선생님의 마지막 모습이었다. 선생님은 남은 삶 ‘이기적으로 살란다’라고 하셨다. 나는 그 말씀을 예술혼에 다다르기 위한 선생님의 강인한 다짐으로 이해했다. 그 다짐 굳히기도 전에 선생님은 너무 빨리 떠나시고 말았다. 선생님은 그곳에서도 여전히 빵모자 쓰고 섬세한 필치로 둥치 굵은 나무에 고독의 옷을 입히실 것이다. 더러 지치면 지나가는 아이들을 모아놓고, 마르코의 감동적인 여정을 구연하고 계실지도 모르겠다.  

 

  부디 선생님께 평화만이!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10-02-09 03: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인생에 영향을 끼치는 분을 만나는 건 축복이지요.
스승님이 가신 곳에서도 빵모자를 쓰고 붓을 들겠네요~

다크아이즈 2010-02-12 17:22   좋아요 0 | URL
네, 빵모자만 보면 스승이 떠올라요. 정신 없는 날들이라 책은 읽는데 리뷰 올릴 시간도 제대로 없어요. 순오기님 서재 구경도 잘 못하니 이게 무슨 재민겨?

穀雨(곡우) 2010-02-12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에 안부 전하고자 들렀더니 안타까운 소식이 있었네요.
멘토처럼 그려지던 분이었으니 상심이 크시겠습니다.
좋은 곳에서 편히 영면하시리라 믿습니다.

느와르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소원하는 일 다 이루어지는
한 해가 되길 바랍니다.

곡우드림.

다크아이즈 2010-02-12 17:23   좋아요 0 | URL
건강을 잃으면 모든 걸 잃는다는 말이 실감나는 요즘이에요. 곡우님도 건강 조심하시고, 설 잘 보내세요.

로사 2010-09-06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님의 글....잘 읽고 갑니다.
서로 모르는 관계이지만,같은 분을 함께 알고 있음이
그나마 작은 축복이 아닌가 싶습니다.
젊은초임교사시절의 모습을 엿볼 수 있어서...좋았습니다.
그 교사생활을 그만두시고....미술대학으로 오셨을 때부터....인연을 맺어서
각별한 우정을 나눈 친구중에 한명입니다.
우리의 대학생활이...이화백으로 하여금 더 빛이 났더랍니다.

고요한 휴일아침.....먼 타국에서
잠시 추억속의 선배를 생각하고 갑니다.

다크아이즈 2010-10-03 00:19   좋아요 0 | URL
어맛, 서재 방치하는 일이 잦은데 이창연 선생님 친구분을 여기서 만나다니 넘 영광입니다. 오늘 같은 가을날 선생님 생각 더욱 납니다. 작년 가을에 마지막으로 뵈었으니... 노란 봉투에 쾌차하시라는 편지를 써서 드렸는데, <봉투가 예쁘다> 하시더군요. 눈물 참느라 혼났습니다. 로사님 이름을 떠올리면 이창연 화백이 절로 생각날 것 같습니다.

잠드리아 2011-06-18 21: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안녕하세요~저도 초등학교때 담임은 아니였지만,선생님을 잘알고있죠^^돌아가시기2년전쯤
우리동기들과 선생님을 뵈었죠~서울 전시회땐 서울동기들도....세계를 돌며 전시회를 하고싶어하셨다는데....역사에 남을 초등미술책에 선생님 위 작품이 실렸어요^^오늘따라 생각이 많이나네요`

다크아이즈 2012-12-03 23:08   좋아요 0 | URL
잠드리아님도 이제야 안부 전합니다.
이창연 선생님의 제자라는 공통분모로 이렇게 연결이 되는군요.
초등 미술책 구할 수만 있다면 간직하고 싶네요. 한 번 알아봐야 겠어요.
님도 건강하시길...

바다 2012-12-03 15: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기슴이 아파~~~ 힘이 듭니다
당신이었네요
선생님은 님 애기와 젊은날 안동에서 교직생활 애기도 많이 하셨어요
어느날은 님이 쓴 단편을 읽어보라고 책을 가지고 와서 저도 재미있게 봤습니다
이창연선생님을 기억해 주세요
아름답운 분입니다.

다크아이즈 2012-12-03 23:14   좋아요 0 | URL
아, 혹시 아주 가까운 분이 아닐까 짐작합니다.
정말 그렇다면 너무 면목이 없습니다. 선생님을 좀 더 보필할 걸 하는 아쉬움...
요즘 나이 먹는다는 것, 산다는 것 생각하면 눈물 마를 날 없는데 기어이 바다님께서 절 또 울리시는군요. 울 수 있다면 님도 감추지 말고 우시어요. 힘내시고...
선생님께 종 울리자마자 그네 타러 나가다가(공부 안 하고 딴 생각 한다고 그랬겠지요.ㅋ) 손바닥 20대 맞은 기억 있어요. 그 얘길 했더니 정작 선생님은 기억조차 못하시더군요.
제 단편까지 읽어보라고 권하셨다니 몸둘 바를... 정진해야겠습니다.

이창연 스승님을, 단 한 시도 잊어 본 적 없습니다.
하늘나라에서는 마르코가 쉽게 엄마를 찾았을 것 같습니다.
선생님 동화 구연 솜씨가 그만이었거든요^^
님도 부디 건강하고, 잘 견디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