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잔은 환갑이 넘은 영어 선생님이다. 한국에 온 지 만 이 년이 채 되지 않았을 것이다. 대학 교수인 아들의 초청으로 같은 대학에서 영어강사로 일하고 있다. 초등학교 선생님 출신답게 다정다감하고 이해심이 있으며 시원한 성격이다.

  한데, 어제 공부 멤버 중 한 명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수잔의 교수법에 대해 우리들의 의견을 내놓을 때가 되지 않았느냐는 게 요지였다. 그미 앞에서는 대세를 따르겠다고 말했지만 나는 지금 고민하고 있다.

  수잔에 대해서 말할 것 같으면 첫 강의를 맡은 학기에 마음의 상처를 입었다고 한다. 고급반 학생들의 요구와 수잔의 교수법이 달라 종강 무렵엔 많은 이탈자가 생겼다고 들었다. 그 다음에 우리를 맡게 되었는데 수강생들이 초보자들이라서 그런지 별 무리 없이 한 학기를 마쳤다. 얼마 전 개설한 가을 학기에 10명이 재수강할 정도로 출발은 산뜻하다. 한데 2학기 수업을 서 너 번 들은 상태에서 재수강생 사이에서 몇 의견이 나오는 모양이다.

  발표하는 사람만 한다.  질문을 하라는데 초보자가 쉽게 질문을 할 수 있겠는가. 차라리 수잔이 번호대로 질문하고 그들이 대답하는 형식을 취하면 골고루 수잔의 입김을 맛보지 않겠는가, 하는 게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의 입장이다.

  수잔의 가르치는 방식이 여물지는 못한 게 사실이다. 나이가 있다보니 테이프나, 디브이디 조작도 서툴고 , 수업 리듬을 놓치면 잠시의 공백이 생기기도 한다. 아주 짧은 시간이지만 그 정적이 곧 수잔의 카리스마에 흠이 될 수도 있음을 사람들은 감지하는 것이다. 두 시간 동안 다채로운 방식을 활용하지 못하고 단조롭게 진행하니 흥미를 못 느끼는 경우도 있다.

  한마디로 수업자체를 장악하지 못해서 어수선할 때가 많다. 이런 불만들을 멤버 몇몇이 수잔과 같이 점심을 먹으면서 얘기해보자 하는데, 내 개인적 심정은 별로 그러고 싶지가 않다.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수잔에게는 수잔의 방식이 있고, 그 방식을 따라가냐, 마냐는 학생이 선택할 문제이다. 수 십년 동안 해온 교수법을 수강생들이 요구한다고 하루 아침에 바뀌는 것도 아니고, 요구한 만큼 수강생들의 태도가 진전될 것 지도 않다. 두 번째는 수잔에게 상처를 주기 싫다. 좋게 얘기한다고 해도 안 좋은 경험이 있는 수잔은 자신의 교수법에 확신을 갖지 못하고 마음 아파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콩글리쉬를 할지라도 질문이 많은 나같은 사람이 앞장서서 수잔을 대면해주길 바라는데 고민이다. 멤버들 마음을 이해 못 하는 것은 아니고, 그렇다고 수잔에게 별 불만이 없는 내가 앞장 설 수도 없고. 특히, 좋은 쪽이든, 나쁜 쪽이든 나는 우루루 몰려 다니면서 패를 만드는 모양새를 달가워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메일을 보내든지, 타협을 하는 게 맞다고 본다. 일단은 대세를 따르겠다고 말했는데 글쎄 대세가 무엇인지는 낼 수업을 가봐야 알겠다.

  어떤 식의 결론이든 수잔이 상처받지 않았으면 좋겠다. 쉽게 상처받을 영혼은 아니겠지만. 수잔, 호기심 많고, 욕심 많은 수강생들 입장도 생각해 줘. 그리고 힘내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