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글쓰기, 어떻게 할 것인가 - 사실을 재구성하는 역사 글쓰기의 모든 것
리처드 마리우스 & 멜빈 E. 페이지 지음, 남경태 옮김 / 휴머니스트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는 과정에서 읽은 책이다. 대중적인 글쓰기보다는 학문적인 글쓰기에 초점을 두고 있는 안내서이다. 최근에는 많은 분야의 논문들이 주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해서 작성되지만, 역사나 철학 등 기초 학문의 분야에서는 여전히 해당 분야의 고유한 글쓰기 방식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역사를 전공하는 사람에게는 이 책이 훌륭한 기본서가 될 수 있다. 또한, 논문이 아니라 역사 교양서를 쓰고자 하는 사람에게도, 이 책은 역사에 관한 글의 질적 수준이 떨어지지 않도록 도와주는 좋은 지침이 될 것이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AgalmA 2014-12-31 09: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사글쓰기라니 정말 궁금합니다. 제가 쓰겠다는 건 아니고요. 역사서를 재밌게 읽고 싶은데 확 와닿는 게 없어요. 그 분야는 너무 문외한이라서 말이죠.

라파엘 2014-12-31 11:37   좋아요 0 | URL
문외한이라는 말씀은 겸손의 표현이실 듯하여 함부로 말씀드리기가 조심스럽습니다만... 역사라는 분야 자체가 전문성을 유지하면서 재밌게 쓰기는 쉽지 않은 듯 합니다. 전문성에 집중하면 논문이 되어버리고 재미에 초점을 두다보면 소설이 되는 경우가 많아서, 그 적절한 중간지점에서 대중적 글쓰기를 한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인 것 같아요 ^^;;
서양사에서는 ˝헤로도토스의 역사˝가 고전이고,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도 꾸준하게 읽히는 책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읽혀진 책은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가 아닐까 하고요. 그리고 동양사에서는 ˝사기˝가 빠질 수 없는데, 김원중 교수께서 우리말로 번역을 하셨지요.
최근에는 만화로 나오는 책들도 상당한 수준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기˝의 경우에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작품이 훌륭합니다. 그리고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도 조선사 입문서로 현재 가장 추천할만한 작품입니다 ^^

cyrus 2014-12-31 1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역사 논문까지는 아니더라도 역사를 주제로 하는 에세이를 작성할 때 이 책이 도움이 될 것 같군요. 읽어보고 싶군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항상 행복한 일 가득하기를 바랍니다. ^^

라파엘 2014-12-31 13:20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사이러스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AgalmA 2014-12-31 16: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말씀하신대로 논문과 소설 사이의 경계 때문에 재밌는 접근이 안되더군요. 말씀하신 책을 알고 있음에도 말이죠. 무려 소장하고 있어도 안 읽는; 요코야마 마츠테루 ˝사기˝는 관심이 갑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드려요~ 2014 마지막 날 제게 좋은 일 해주신 거예요ㅎ!

라파엘 2015-01-01 10:41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 이제 2015년이네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ㅎ !!!

2015-01-01 02:4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5-01-01 10:45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