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귀 가죽 (무선) ㅣ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3
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이철의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학생 때 다들 그런 경험 있지. 시험기간이 되면 공부만 빼고 모든 게 재미있어지는. 평소에 안 하던 딴짓 거리에 계속 몸이 가고 또 그게 그렇게 재밌을 수 없더라는 경험들이 다 있을 텐데 이건 뭐 커서도 변함이 없는갑다. 어쩌다 휴일이 생기면 오늘은 온종일 책만 읽어야겠다거나 밀린 서평을 써야겠다고 마음먹으면 꼭 중간중간에 이런저런 잡일들을 하곤 한다. 특히 글 쓰는 작업은 끊임없이 창의성을 요구하는 일인데, 이 창의성은 두뇌가 휴식 중일 때에 회전이 더 잘 되는 법이라 종종 일부러 딴짓을 할 때도 많았지만 이번 독서는 진짜 집안일이 즐거워서 미치겠을 정도로 따분하고 괴로운 책이었다. 이번 글은 정말 아무런 도움도 안 될 테니 이쯤에서 뒤로 가기 버튼을 클릭하여 금 같은 시간을 아끼시길 권하겠다.
자살하려던 청년이 골동품 가게에서 신비한 나귀 가죽을 얻는다. 여기에 소원을 빌거나 욕망을 가지면 원대로 이루어지나 소유자의 수명이 줄어든다. 여튼 부귀영화를 얻게 된 그는 나귀 가죽이 줄어듦에 따라 자신의 생이 곧 끝날 거라는 노이로제에 빠져 허덕인다. 젊은 날에는 그렇게 죽고 싶어 하더니, 모든 걸 다 갖고 나니 죽기 싫어서 베개에 코 박고 찔찔 짜는 나날만 보내는 주인공. 역시 세상엔 공짜가 없으요.
하, 드디어 올게 왔다는 생각으로 읽었다. 고전을 전혀 읽지 않았던 과거의 내가 가졌었던 선입견을 그대로 담고 있는 초강적의 작품이었다. 현재 나로서는 전혀 흡수가 불가한 책이라 이번 리뷰는 깔끔히 포기하고 그냥 하고 싶은 말만 주구장창 적겠다. 먼저 이 책은 특정 대상을 위함이 아닌 작가 자신을 위해 썼다는 인상을 받는다. 넘치는 방대한 지식과 번뇌와 통찰들을 기록하여 본인만의 유산으로 남기고 싶어 한 괴짜의 작품이랄까. 이 책이 재밌었다는 모든 분들을 내 진심으로 존경한다. 나름 불친절한 여러 책을 만나왔지만 이 책은 그중에 원탑이요, 어나더 레벨이었다. 내가 먼 훗날 온 세상을 통달하고 나면 다시 읽고서 누구든 쉽게 이해할만한 리뷰를 남겨보련다.
내 아직까지는 이 책보다 단어를 많이 사용한 책을 보지 못했다. 한 문장에 들어간 단어와 표현이 너무나도 많아서 소화가 안된다. 이 작품은 두세 줄 정도로 짧은 요약이 가능한 데에 비해 분량은 터무니없이 두껍고, 기승전결의 전개보다 주인공의 독백이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나 진짜 읽다가 정신착란에 빠질뻔했더랬다. 그래서 정말 열심히 스킵 하면서 겨우겨우 읽었다. 독서모임만 아니었으면 초반에 덮었을, 나와는 전혀 상성이 안 맞는 넘사벽 책이다. 국어사전도 이보단 재밌겄으요.
자기 연민과 신세한탄으로 가득한 말들을 어쩜 그리 중복됨 없이 내뱉을 수 있는지 놀랍다면 놀라운 언변인데, 제발 엔간히 좀 하라는 친구의 조언에도 꿈쩍 않고 자신의 찌질함을 늘어놓는 주인공. 이제 겨우 이십 년 좀 넘게 살아놓고 뭐 그리 한이 많은지 무슨 산전수전 공중전 다 겪은 팔십 대 노인처럼 굴어대는데, 그냥 궁시렁거리는 정도가 아니라 그동안 공부하며 알게 된 모든 지식을 총동원하여 세상 참 부질없다를 읊조리고 있으니 보고 있노라면 피가 쭉쭉 마른다. 발자크도 지식의 저주에 갇힌 사람이었나? 도무지 적당히란 걸 모르는 사람이다. 3~4절만으로도 지겨운 노래를 99절까지 하시겠다? 이런 사람은 마취총이 답이다.
웬 서문이 처음부터 나와서 작품의 글로 저자의 인간성을 판단치 말라는 말을 어디 고대 문자처럼 영 못 알아먹을 말들로 장황하게 설명해서 돌아가실뻔했는데, 알고 보니 그 숨 막히게 답답하고 따분했던 서문이 차라리 작품보다 훨씬 읽을만했더라는 사실에 벽 잡고 공중제비를 돌 뻔했다. 그래 뭐 당시 배경과 분위기에 따라 사회의 이모저모를 비판하려는 것도 대강 알겠고, 작가가 생각하는 철학에 대해서 할 말이 많은 것도 알겠으나 당최 파악이 안되는 중에 너무 많은 내용을 와르르 쏟아낸다는 생각이 안드심니꺼? 사백 페이지 넘게 이런 식이니 나 같은 쪼렙에 인내심 부족한 독자는 읽다 말고 자꾸 딴짓을 하게 되더란 말이다. 아니, 어느새 집안 대청소를 해부렀으요.
그나마 3부에 가서는 이야기라고 해줄 수는 있을 만큼의 전개가 나오지만 투 머치 토커의 루즈함은 여전했고, 무엇보다 한번 거부했던 내 머리는 끝까지 이 책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말았다. 아무리 어렵고 난해한 책이라도 읽었다는 데에 의의를 가지자는 편인데 이 책은 그렇지도 않았다. 인간관계에서도 한번 아니다 싶은 생각이 들면 다시는 안 보는 나라서, 발자크도 다시 볼 일은 없을 듯. 위에서 말했듯이 내가 세상만사를 통달한다면 다시 생각해보도록 하지. 아오, 써도 써도 끝이 안 나네. 이만 쓰련다. 님도 여기까지 읽느라 고생했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