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뭐라도 되겠지 - 호기심과 편애로 만드는 특별한 세상
김중혁 지음 / 마음산책 / 2011년 10월
평점 :
'인생의 비밀은 쓸데없는 것과 농담에 있다'는 말이 책에 크게 적혀있다. 이런 김중혁 작가의 가치관과 비슷한 말을 분명 예전에 엄청난 대문호가 했던 것 같은데, 잘 기억이 안 난다. 어쨌건 예전 같았으면 이런 작가의 인생관이 참 이상하다고 여겼을 텐데, 지금은 조금 맞는 말 같기도 하고 그렇다.
산문집의 제목처럼, 참 가볍고 의미 없는 글들이었다. 쓰다 보면 뭐라도 되겠지, 뭐라도 나오겠지, 마치 이런 느낌이라고나 할까. 난 이런 스타일을 썩 좋아하는 편은 아니긴 한데, 이젠 그만의 '될대로 되라' 방식을 인정하고 싶기도 하다. 모든 사람들이 다 이렇다면 조금 곤란하겠지만, 김중혁 작가는 가벼우면서도 은근한 꾸준함으로 자기 세계를 구축해왔기 때문에 조금 멋있게 보이기도 한다. 풀풀 날리는 듯한 글들도 은근히 정제되어있어 읽기가 쉽다. 이런 글쓰기는 쉽게 보여도 보이는 것만큼 쉽지 않음을 잘 알고 있다.
편하게 웃어넘길 수 있는 책이되, 읽고 나면 뭐가 바뀌었는지도 모를 만큼 바뀌게 되는 게 그가 생각하는 좋은 글, 좋은 책이라고 했다. 작가는 자신의 방식을 정확히 꿰뚫고 있다. 나도 왠지 그에게 당한 것 같다. 이 제멋대로의 작가 글이 이상하다 싶으면서도 왠지 싫지 않다. 희한한 일이다.
아, 소설가 김연수 님의 추천사가 마음에 든다. 김중혁은 빈 수레의 삶을 지향한다. 공수래공수거.. 이런 게 아니고 항상 요란하니까. ㅋ 그렇게 쓰고 맨 마지막엔, '뭐라도 건지겠지.'라고 쓰셨는데 그게 참 웃겼다. ㅎㅎ 그래, 뭐라도 건지겠지. 뭐라도 되겠지. :-)
`그런 생각이 든다. 다른 길로 가는 게 어때서. 그래, 그럴 수 있지. 좋은 경험을 했으니 다른 일을 할 수도 있지. 스턴트맨 일이 너무 힘들어서 포기할 수도 있지. 왜냐하면 젊음이란 건 조금은 낭비되어도 상관없을 만큼 넘치고 넘치는 것이니까. 길을 잘못 들어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도 `어랏, 아직도 시간이 남았네`라고 할 만큼 여유가 있는 것이니까. 그러나 문제는 "젊은 날엔 젊음을 모르고, 사랑할 땐 사랑이 보이지 않"는 것이다. ... 우리는 실패할 확률이 훨씬 높은 존재들이다. 그러므로 우리의 실패는 아주 작은 실패일 뿐이다. 스무 살 때 그걸 알았더라면 좀 더 많은 실패를 해보았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