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편같은 장편소설이다. 단편인 줄 알았지만, 이야기는 보이지 않는 실로 얽혀져 있었고 그렇게 얽힌 전체의 인물들은 정세랑 작가가 구축한 하나의 세계를 이루고 있었다. 마치 어느 장면에서 카메라가 줌인(zoom-in)되며 한 인물, 혹은 한 가족을 비춘 뒤 서서히 옆으로 이동하면서 다른 인물, 혹은 다른 가족,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는 듯 했다. 즉 단편처럼 보이는 어느 한 세계도 단독적이지 않고 어딘가에 이어진 세계로써 존재하는 듯 했다. 그렇게 신기하고 매력적인 작품이었다.
A의 가족 이야기에서 시작되었다면, 그 다음엔 B, 그 다음에는 C 이렇게 이어지지 않는다. 피프티피플 세계 속 이야기는 병원 응급실에서 시작되는데 처음에서는 D라는 사건이 서술되지만 다음엔 D라는 사건을 해결한 E의 이야기, 그리고 E의 동료 혹은 교수인 F의 이야기가 나오고, 다시 F의 아내 이야기가 한참 뒤에 다시 나오는 식이다. 다시 D라는 사건이 벌어질 때 함께 응급실에 있었던 G의 이야기가 나오고, G의 친구의 동생인 H가 어딘가 뒤에서 다시 서술되는 식이다. 그렇게 얽히고 섥혀서 마치 거미줄처럼 약하지만 강한 하나의 촘촘하고 강한 세계가 구축되고 있었다.
어느 순간에는 인물의 관계도를 그려보고 싶단 마음이 굴뚝처럼 일어났다. 하지만 이미 읽은 부분이 절반이라서, 대충이라도 다시 읽기엔 부담스러웠고 또 주인공 외 잠깐 스쳐지나가는 사람들이 나올 것 같아 섣불리 시도할 수도 없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인물 관계도가 더욱 필요하다는 생각이 간절해지긴 했지만, 어찌저찌 잘 참아내고 글을 마저 읽었다.
작가의 말을 통해 더 감동받기도 한다. 작가들의 마음은 늘 어찌 이리 고울까, 항상 생각한다. 마음을 잘 쓰고 마음의 소리를 잘 듣고 그 마음을 내어서 표현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럴 거라고 생각한다. 타인의 이야기와 아픔에, 나와 너의 이야기와 아픔에 쉽게 공감하고 위로하는 사람들이라 더 고맙고 감사하다. 짧은 이야기를 통해서도 애잔한 마음을 전해서 사람을 울리게 만드는 힘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아파하는 마음을 혼자 간직하지 않고 글로 써서 더 나은 세계를 꿈꾸는 강한 마음을 지닌 사람들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