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칙하고 통쾌한 교사 비판서
로테 퀸 지음, 조경수 옮김 / 황금부엉이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이 책이 나오게 된 배경인 독일의 교육현실은 우리나라의 그것과는 다소 다르다. 저자는 책 서두와 본문 여러 곳에서 열린교육의 폐해인 초등교육의 학력 저하와 그로 인한 초등, 중등 간의 교육 격차가 이 책이 나오게 된 배경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교사에 대한 개인적 감정이 지나치게 섞여 있어, 읽으면 읽을수록 과연 이 책이 독일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하기 위한 책인지, 개인적인 감정을 악담으로 풀어내기 위한 책인지 분간하기가 어려울 때가 많았고, 그런 감정의 과잉 때문에 앞 부분과 뒷 부분의 논리마저도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저자는 초등학교에서 아이들의 과업수행을 서술로 풀어내는 서술평가제보다 객관적인 근거에 의거해 점수를 매기는 점수제가 더욱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평가방법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작 김나지움에서 이루어지는 점수 중심의 평가 방법 역시 불신하고 있으며, 지식 중심의 수업을 바란다는 앞부분의 내용과는 달리 좋은 교사의 기준을 '질 높은 수업'이 아닌 '교사의 열린 마음'에 두는 논리의 오류를 범하고 있다.
또한, 자신의 아이가 초등 교육을 통해 다른 나라의 명절을 익히고, 스스로 만든 인형으로 가족을 기쁘게 해 주고, 싸움 대신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문제에 대해 관심을 갖고, 성에 관해 건전한 상식을 갖추게 된 것도 김나지움에서 쓸모가 없다는 이유로 부정적으로 인식한다. (나는 사실 그녀가 초등학교에서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수학의 원리나 접속사의 원칙보다 이러한 상식이 훨씬 더 삶에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매우 흥미를 갖고 읽기 시작했던 책이 건전한 비판이 아닌 사적인 악담으로 흘러 실망스러웠지만, 그럼에도 내가 이 책에 별점 네 개를 준 것은 책의 마지막에 있던 인간교육실현학부모연대 사무국장인 이경자의 글 "한국의 교사들이 고쳐야 할 7가지" 때문이다. 이 글 속에는 현직 교사인 내가 막연하게 인식하고 있던 교육계의 문제점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짧은 글이어서 대안 제시까지는 이루어지지 못했지만 명확한 문제 인식이야말로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방법이리라.
나는 어느 직업이든지 비판할 수 있고 지금의 교육계 역시 비판과 반성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다고 믿는다. 그러나 비판도 애정이 있어야 할 수 있는 법이다. 교사가 학생에게 하지말아야 할 행동 중에 첫번째가 교사 자신의 부정적 감정을 투사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교사에 대한 비판에서도 지켜져야 하는 원칙이다. 애정이 없는 비판은 비판이 아니라 비난과 악담이며, 이러한 비난과 악담 만으로는 교육의 문제점이 제대로 해결될 수 없다.
논리와 설득력으로 무장한 제대로 된 교사 비판서가 출판되어 우리의 교육계를 흔들고, 교육의 세 주체인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의 각성을 촉구하게 되길 바란다. 그리고 교사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치로운 직업이라 믿는 나를 비롯한 많은 교사들이 그러한 비판의 칼날을 스스로에게 먼저 들이미는 모범을 보여야 하리라.. 다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