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
공지영 지음 / 푸른숲 / 1999년 8월
평점 :
절판


실은 내가 읽은 <고등어>는 이 책이 아니라 웅진출판에서 나온 초판 30쇄 판이다. 내가 산 날짜는 1995년 4월 10일, 책을 구입한 장소는 학교 구내서점이었다.

책을 펼쳐드니 공지영이 이 책을 처음 썼던 나이가 지금의 내 나이다. 아마도 작가는 30대에 접어들어 자신의 20대를 떠올리며 이 책을 적어내려갔겠지. 나 역시 30대에 접어들어 나의 20대를 떠올리며 이 책을 다시 읽는다.

읽다보니 최근에 읽었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과 <고등어> 사이에 형식상 비슷한 부분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소설의 각 장이 유고일기로 시작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이 윤수의 유고일기(블루노트라는 이름이 붙은~)로 시작하고 있다면, <고등어>는 노은림의 유고일기로 소설의 각 장을 시작하고 있다. 이렇게 각 장에 붙어있는 주인공들의 유고일기는 작가가 하고싶은 말을 대신 해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앞으로 벌어질 내용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는 역할을 하고있다.

20대에 처음 이 책을 읽을 때는 참 눈물을 많이도 쏟아냈었다. 운동권에 대한 후일담 소설이라는 당시의 비판과 상관없이 나는 이 책에 담겨있는 사람들의 어긋난 사랑, 주어진 운명에 어쩔 수 없이 순응하면서도 끝내 버리지 못하고 되찾고자 하는 꿈에 더욱 마음이 쏠렸기 때문이었다.

다시금 읽은 책은 물론 그 때만큼 감동적이거나 눈물겹게 슬프지는 않다. 가끔 매우 성숙한 어른인 척 하는 주인공들의 모습이 우습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러나 주저없이 별 다섯 개를 준 것은 나는 공지영의 진심(사람과 사회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믿기 때문이다.

그녀가 자신이 386 세대임을 끊임없이 독자들에게 상기시키며 다른 사람들보다 올바른 삶을 살았다고 자위하고 있다는 어느 리뷰의 비판은 일리있다.

하지만, 열광적인 민주투사가 보수정당의 공천으로 국회의원이 되고, 이른바 기득권층이 된 운동권들이 자신의 운동경험을 이미지를 위해 팔아먹는 구역질나는 세태에 비하면 자신의 과거를 잊지 않고, 그 경험을 인간 생명에 대한 사랑(<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서 보여준 사형제 폐지와 같은...)으로 확대시키는 그녀의 변신은 오히려 아름답고 올바르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