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류사회 - 새로운 계층집단의 출현
미우라 아츠시 지음, 이화성 옮김 / 씨앗을뿌리는사람 / 2006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일본인들의 '하류인생'을 여러 각도에서 재구성하면서, 일본의 계층문제를 전통적인 사회학이 아닌 계층구성원의 행동양식과 의식의 측면에서 접근한 독특한 책이다. 

지은이가 말하는 '하류계층'은 곧 '하류세대'. '하류의식'을 의미하기도 한다. 일본의 베이비붐 열풍을 타고 풍요 속에 자라난 젊은이들(즉 '단괴 주니어 세대') 중 상당수가 여기에 해당한다는 것이다.

책은 하류에 속하는 이들이 중류나 상류로 상승하려는 의욕이냐 야심이 없고, 오히려 하류 인생에서 개성을 찾으며 행복하다고 여기는 현상을 주목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의 단적인 예로 나이가 들어도 독립하지 못한 채 부모의 집에 살고, 100엔짜리 가게와 패스트푸드를 애용하며, 직업을 가지기보단 프리터가 되거나 도박, 복권 당첨 같은 엉뚱한 희망에 열중하는 젊은이들의 세태를 들고 있다.

하지만 상류가 무엇인지, 하류가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과 대답은 이 책에서 찾아볼 수 없다. 책을 읽으면 높은 소득과 좋은 차, 사회적 지위의 차지 등을 상류의 요소라고 생각하는 듯 한데, 그것이 정말로 상류를 규정짓는 요소가 되는 것이 타당한 것인가? 그리고 개성을 살리고, 자기다운 삶을 살고자 하는 것이 과연 하류로 낙인찍힐 만큼 반사회적인 행태인가?

물질이 마치 신처럼 추앙받는 사회에서 자기다움을 추구하는 것이 돌연변이처럼 느껴질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계층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여겨지고, 그것이 당연한 듯 책에까지 등장하는 것을 보면 이건 사회현상이라기보다는 가진 자의 지나친 오만과 독선, 계층을 더욱 고착화시키기 위한 음모로까지 여겨진다.

물론 저자는 계층화와 계층 고착화가 바람직한 것이라고는 말하지 않는다. 국립대학교 학비를 무료화하고,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하여 계층화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얼마나 현실성이 있는지, 그리고 만약 실현될 수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계층 고착화를 해소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을지는 의문스럽다.

국립대 학비를 무료화하기 위해선 세금이나 기부에 의지하는 방법밖에 없을 텐데, 세금으로 충당하자면 그 조세저항을 어찌 감당할 것이며, 기부에 의지한다면 결국 돈있는 상류층에 국립대의 재정을 의존하겠다는 것밖에 안되는 것 아닌가? 또 노블레스 오블리주 역시 필요성이나 방법을 몰라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니라 순전히 기득권 측의 이기심에 의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이니, 일본이든 우리나라든 자발적인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듯 하다. 

이 책은 우선, 상류와 하류 계층의 의미부터 새롭게 정립한 뒤 내용을 전개했어야 옳다. 무엇이 상류이고, 하류인지 규정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상황에서, 물질을 추구하지 않고 나다움을 추구한다고, 또한 물질을 추구할 마음이 없다고 하류로 취급하는 것은 아무리 통계자로로 포장하여 공정과 객관을 유지하는 척 한다 해도 온당하지 못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