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들에게 실천문학 시집선(실천시선) 159
최영미 지음 / 실천문학사 / 200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원래도 예쁜 언어로 시를 쓰는 작가는 아니었지만, 이번 시집엔 특히 그녀의 화난 목소리가 더욱 크게 담겨있는 듯 하다. 이전의 시집 <꿈의 페달을 밟고>에서 잠시나마 느꼈던 소녀같은 감상은 완전히 걷히고, 세상을 향한 불만과 불화의 목소리만 가득해 시집을 읽는 동안 목구멍이 칼칼해지기까지 했다.

그녀는 "잔치가 끝난 뒤에도 설거지 중인 내게 죄가 있다면, 이 세상을 사랑한 죄밖에"(52p) 없는데, "한 번도 제대로 저지르지 못했으면서 평생을 속죄하고 살았다."(52p)며 "제기랄"(52P) 욕설을 씹고,

요즈음의 진보에 대해 "관념으로 도배된 자기도취와 감상적 애국이 연구실에서 광장으로, 감옥에서 시장으로 나온 흑백논리가 종이에 인쇄되어 팔리는"(91p) 처지로 전락했다며 "이것이 진보라면 더러워서! 밑씻개로도 쓰지 않겠다."(91p)고 일갈한다.

시집 앞부분의 "돼지"와 "여우"에 대한 시들이 분명 누군가를 염두에 둔 듯 하고, 뒷부분으로 갈수록 험해지는 시인의 절망과 좌절, 그리고 분노가 그 돼지와 여우 때문인 듯도 한데, 정치의식 부족하고 문학적 센스까지 결여된 나로서는 그게 무엇인지, 누구인지 감조차 잡히지 않아 시를 읽어내기가 참으로 난감했다.

그러나 나는 그녀가 "정의는 축구장에만 있다."(58p)며 절망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리하여 이 따위가 시냐고 책장을 사납게 덮는 비난 속에서도 "자신의 약점을 보이지 않는 시를 나는 믿지 않는다."(97p)고 당당하게 외치며 계속해서 싸우고 사랑하고 화냈으면 좋겠다.

그녀의 곁에, 겁 많아 함께 화내지는 못하지만 마음으로 고개를 끄덕이는 나같은 독자도 있다는 것을 그녀가 알아주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