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풀꽃도 꽃이다 - 전2권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나치게 길고, 지나치게 등장인물이 많고,

지나치게 많은 이야기를 다루고,

지나치게 훈계조다.

 

현 세태를 반영한답시고 구겨넣은 아이들의 비속어는

현실감을 준다기보다 지나치게 작위적이라 오히려 비현실적이다.

 

교육문제에 대한 비분강개가 지나쳐

작가는 소설이 아니라 일장연설을 하고 있고,

책을 읽는 독자는 선생님께 꾸중듣는 학생 같은 심정이 되고 만다.

 

소설이 아니라 작가의 생각과 의견이 담긴 에세이였다면 오히려 좋았을 텐데,

읽는 내내 아쉬웠다.

지나친 것이 모자란 것만 못하다는 말이 거짓이 아님을...

안타깝게도 이 책을 통해 다시금 깨달았다.

"엄마들 사랑? 그거 자식들 죽이는 독약이에요.? (1권 p.114)

`엄마, 제발 생각을 좀 바꿔. 엄마와 난, 엄마와 딸의 관계일 뿐이지 내가 엄마의 소유물은 아니야. 엄마는 엄마고, 나는 나고, 엄마는 엄마의 인생을 살고, 나는 내 인생을 사는 거야. 서로 대신 살아줄 수는 없는 거라고. 엄마들은 다 대학 나왔으면서도 왜 그 쉬운 걸 구별할 줄 모르는지 몰라." (1권 p.230)

자신은 그나마 좋은 일 때문에 따를 당해도 이렇게 외롭고 슬픈데, 가난하다고, 못생겼다고, 뚱뚱하다고, 말을 좀 더듬는다고, 몸집이 작다고, 공부를 못한다고, 어리버리하다고 따를 당하는 애들은 얼마나 외롭고 억울하고 슬프고 분했을 것인가. 이제야 그런 아이들이 너무나 불쌍하고 가엾게 여겨졌다. (1권 p.270~p.271)

교육이란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의 실천이었다. 지식의 일깨움이나 전달은 그다음이었다. 그런데 세태는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그 반대로 세찬 바람을 일으키고 있었다. 아니, 그 반대라고 할 수도 없었다. 공부가 강조되고, 경쟁이 신봉되면서 인간에 대한 이해와 사랑은 실종되어 그 자취가 묘연했다. (2권 p.90)

고민이 생겼을 때 누구와 상담하느냐는 질문에 학생들 40.2퍼센트는 `친구`라고 응답했다. 그리고 아버지가 0.9퍼센트였다. 그런데 60퍼센트의 아버지들은 아이들이 자신을 대화 상대나 상담 상대로 생각한다고 믿고 있었다. 그러면 엄마는 얼마였을까? 엄마는 아예 없었다. --- <중략> --- 그러나 엄마만 버림받은 존재가 아니었다. 아이들은 선생도 가차 없이 버려 상담 대상으로 0.1퍼센트도 나오지 않게 해버렸다. (2권 p.137)

전후의 혹독한 굶주림 속에서 ‘넝마주이‘라는 가난한 청소년들이 도시의 청결을 해결해 주는 보이지 않는 공을 세웠듯이 오늘의 가난한 청소년들도 법이 보장하는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우리 사회의 밑바닥 경제를 그렇게 떠받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니까 업주들만 가엾은 청소년들의 노동력을 갈취하는 것이 아니었다. 돈이 돌고 돌듯 우리 사회, 우리들 모두가 그 갈취에 동참하고 있는 것이었다. (2권 p.212)

민주주의는 교실에서부터 - 문병란 -

민주주의는 / 교실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교사는 진실을 말해야 하고 / 학생들은 그 진실을 배워야 한다.
교단은 비록 좁지만 천하는 굽어 보는 곳
초롱한 눈들을 속여서는 안 된다.
자유로이 묻고 / 자유로이 대답하고
의문 속에서 창조되는 진리
아니오 속에서 만들어지는 민주주의
외우는 기계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
일등짜리만 소용되는 출세주의 교육
꼴찌를 버리는 교육이어서는 안 된다.
일등하기 강박관념에 시달리다 음독 자살하고
참고서 외우는 죽은 교육 싫어서 목을 매달고
점수에 납작 눌려 있는 초조한 가슴들
교실이 감옥이 되어서는 안 된다.
친구의 목을 누르는 경쟁장이 되어서는 안 된다.
모이면 오손도손 정이 익어가고
눈과 눈들이 별이 되는 꽃밭
서로의 가슴에 사랑의 강물이 흐르는
교실은 너와 내가 하나 되는 공동체
각기 다른 빛깔로 피는 꽃밭이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