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홍 리본의 시절
권여선 지음 / 창비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읽는 권여선의 책이다. 작가에 대한 아무런 사전지식 없이 책을 집어들었다.

책장이 쉽게 넘어가지 않았다. 처음엔 '너무 오랜만에 읽는 단편소설이어서 적응이 되지 않았나...' 했다. 그러나 한 편, 또 한 편... 읽어보아도 쉬이 책장을 넘기지 못하는 건 마찬가지였다. 그렇다고 '에잇, 재미없어!' 라며 그만 읽을 수도 없었다. 낯설고, 그래서 꺼려지는 이야기이지만 그렇다고 재미없다고 단정지을 수도 없는 묘한 매력이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만들었다.

마지막 책장을 덮고나서도 묘한 매력과 익숙해지지 않는 낯설음..이라는 상대적인 두 감정이 팽팽하게 유지된다. 왜일까...? 가만히 생각해 보니 소설 속의 등장인물들이 하나같이 기괴하고 내 주변엔 없는 비상식적(?)인 사람들이기 때문이란 생각이 든다.

그야말로 이 소설집 속의 주인공들은 하나같이 정 주기 힘든 밉상들이다. 알레르기로 진물이 줄줄 흐르는 얼굴에 심각한 피해의식과 더불어 상대에 대한 병적인 집착을 보이고('가을이 오면'의 주인공), 심각한 거식증과 대식증으로 자기자신을 학대하며('반죽의 형상'의 주인공), 주변 분위기와 상관없이 주절주절 제 하고픈 얘기만 늘어놓는 진상을 떨기도('문상'의 등장인물)  한다.

그 뿐인가? 소설의 결말들은 어찌 그리 볼일 본 후 밑도 닦지 못하고 급히 나온 뒤의 느낌처럼 찝찝하고 불쾌한지... 뭔가 새로운 인생을 계획해볼까 하는 찰나에 뺑소니 교통사고를 당해 산송장이 되고('약콩이 끓는 동안') 느닷없이 사라진 한 사람 때문에 평화롭던 공동체가 서서히 무너지고('솔숲 사이로') 남편의 후배와 밀회를 즐기던 여자가 저녁 산책길에 느닷없이 목이 졸려 납치를 당하는('위험한 산책') 결말은 몇 번을 읽어도 적응하기 힘들다.

그러나 그 밉상 인물들이 구질구질, 찝찝, 불쾌하게 살다가 기괴하게 끝맺는 이야기라도 쉽게 손에서 내려놓을 수 없는 묘한 매력을 풍기는 것은 또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그건 상식적이고 비교적 평온한 삶을 살고있다고 자부하는 대다수 사람들의 내부에도 설명할 수 없는 악취와 사악함, 비루함 등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작가는 겉으로 드러나진 않지만 우리들 내부에 존재하는 그늘진 면을 도드라지게 표현하고 있다. 거북하고 외면하고 싶지만 쉽사리 책을 내려놓지 못하는 까닭이 바로 거기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