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는 스무 살, 아니 만 열아홉 살 사계절 1318 문고 38
박상률 지음 / 사계절 / 200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교는 스무 살, 아니 만 열 아홉살 된 청년이다. 그렇지 않아도 어렵던 살림이 아버지의 사망과 함께 더 어려워져 고등학교도 낮에는 일하고 밤에 다니는 야간 고등학교를 나왔다. 공부에 흥미가 있는 편은 아니지만, 그래도 열심히 배워야 한다는 신념만은 투철해 야간 대학에 다니고 있는 건실한 청년이다. 사회 문제에 큰 관심도 없고, 관심이 있다 해도 팍팍한 살림살이 때문에 관심을 실천할 여력도 없는 형편이다.

그런 영교가 출근길에 총에 맞아 죽었다. 1980년 5월, 광주의 금남로 입구에서 복부 관통상을 입은 채였다. 영교의 어머니 월산댁은 오열 속에 아들의 장례식을 치렀지만, 그 후 넋이 나가 아들의 죽음을 잊어버렸다. 아들이 다니던 직장으로, 학교로 아들을 만나러 찾아다니는 월산댁의 찢어지는 마음이 책을 읽는 사람에게도 구구절절 전해진다.

그러나... 영교를 '너'라고 부르는 작가의 이야기는 책 읽는 재미를 느낄 틈도 없이 시시때때로, 느닷없이 튀어나와 감동을 방해한다. 편지도 아니고, 독백도 아니고, 영교에 대한 추도사도 아닌 듯한 이 뜬금없는 이야기를 굳이 넣은 작가의 의도가 읽는 내내 의심스러웠다. 영교가 실은 광주 민주화 항쟁과 아무 관련없는 가난한 고학생이었다는 것을 매 장마다 강조하는 게 읽는 이에게 무슨 도움이 되었을까? 차라리 그 부분을 완전히 삭제하고 영교의 어머니가 주가 되는 나머지 이야기만으로 소설을 이끌어나가는 것이 오히려 영교의 죽음과 그 죽음에 얽힌 우리 사회의 비극을 알리기에 효과적이지 않았을까...?

얇고 읽기 쉽다고 해서 청소년 책이 될 수는 없다. 어른을 위한 책보다 오히려 더 정교하고 잘 짜여진 이야기 구조, 재미를 두루 갖춰야 감수성 풍부한 청소년을 독자로 이끌 수 있을 터이다. 그러나 이 소설은 정교하지도 재미있지도 않다. 물론 광주 이야기로 청소년에게 말을 걸고자 한 의도는 높이 살 만 하지만, 그 좋은 의도가 나머지 부분을 모두 감싸기엔 어설프고 부족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