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방 - 우리 시대 대표 작가 6인의 책과 서재 이야기
박래부 지음, 안희원 그림, 박신우 사진 / 서해문집 / 2006년 6월
평점 :
품절


책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자기 서재를 갖는 일이 꿈이다. 나 역시 신혼살림을 꾸렸던 17평 아파트에서 지금 살고 있는 집으로 이사오면서 제일 먼저 했던 일이 서재를 만들 책장과 책상을 사는 거였다. 잘 정돈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래도 천여 권의 책이 있는 내 서재에 들어와 앉아있으면 굳이 책을 집어들어 읽지 않아도 마음이 뿌듯하고 푸근하다.

책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 좋아하는 걸 또 하나 꼽는다면 그건 아마 남의 서재 구경하기가 되지 않을까 싶다. 다른 사람의 책꽂이에서 내가 좋아하는 책을 발견했을 때의 친밀감, 나에게 없는 매력적인 책을 갖고있는 사람에 대한 질투 등의 감정들은 의외로 기분좋은 설렘이자 즐거움이다. 더구나 그 남이 유명 작가라면, 더할나위 없지 않을까..?

이 책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의 이런 취향을 잘 맞춰 기획한 '작가의 서재 탐방기'이다. 이문열, 김영하, 강은교, 공지영, 김용택, 신경숙의 서재를 직접 방문하여 사진을 찍고, 작가와 인터뷰한 내용을 실어놓았다. 집 공개를 꺼린 김영하 빼고는 자택을 직접 방문한 것이니, 충분하진 않아도 작가의 집에 얽힌 내용을 듣는 재미도 꽤 쏠쏠한 편이다.

웅장하긴 하지만 지나친 정갈함과 권위, 위엄이 느껴져 부럽진 않았던 이문열의 서재, 자택에 있는 진짜 서재에 대한 궁금증만을 키운 김영하의 연구실... 이 두 서재만 빼고 나머지 작가의 서재는 보고 읽는 내내 감탄을 내뱉었다. 특히 나는 넘치는 책을 주체못해 만년 '2학년 1반' 담임인 김용택의 교실이 맘에 들었다. 그렇게 책에 둘러쌓여 살고 있는 2학년 1반 아이들은 얼마나 좋았을까...? 오는 8월 명예퇴직을 하는 김용택의 그 책들은 이제 어디로 옮겨질까...? 창호지 문이 정겹던 고향집 서재일까, 아니면 멀끔하게 단장된 전주 아파트의 서재일까...?

멋지게 꾸며놓고, 수천 수만 권의 책들이 쌓여있다고 다 서재라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결국 진짜 서재를 만드는 건 그 책들의 주인일 터, 때론 즐겁게 때론 분노하면서 읽은 책들과 함께 세월을 지나는 것, 책장이 누래지는 것처럼 책과 함께 나이먹어 가는 것이 진짜 서재를 만들어가는 과정이 아닐까 싶다. 책을 다 읽고 나니 보잘것없는 내 서재가 더 귀하게 느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