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로 읽는 여성성 She - 동연총서 208
로버트 A. 존슨 지음, 고혜경 옮김 / 동연출판사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구입했던 <신화로 읽는 남성성 He>보다는 편하고 쉽게 읽힌다. 내용도 보다 명료하게 전달된다. 그러나 신화 하나로 여성성의 성숙 과정을 제대로 설명하기엔 다소 부족하지 않았나 싶다.

책은 아프로디테로부터 시작한다. 신화에서 아프로디테는 생식이나 본능적 모성에 충실한 원시적인 여성성의 본질을 의미한다. 그러나 원시적인 여성성은 프시케에 의해 도전을 받게 된다. 아프로디테는 질투에 휩싸여 프시케에게 죽음과 결혼해야 한다는 신탁을 내리게 된다.

저자는 여기에서 결혼이란 순수한 여성성의 죽음에서 비롯되는 것이라는 견해를 이끌어낸다. 실제로 우리나라 제주 전통에 결혼식 때 입는 혼례복과 장례식 때 입는 호상복이 같은 옷이었다고 한다. 남성에게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여성에게 결혼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삶을 사는 계기라는 점을 생각할 때 적절한 비유인 듯도 하다.

이렇게 내용은 프시케와 에로스의 신화를 설명하면서 프시케가 완전한 여성성의 성숙을 이루어가는 과정을 짚어간다. '사랑하는 것'과 '사랑에 빠지는 것'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나, 여성성의 성숙을 네 단계로 설명하는 것 등의 예는 그 설명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흥미있다.

저자는 여성성의 성숙에 남성성이 필요하긴 하지만 그것은 극히 일부일 뿐이고 진정한 성숙은 자신의 내면 안에 있는 여신적인 특성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그렇게 되면 모두에게 '기쁨'과 '조이'와 '엑스타시'를 가져다 줄 수 있단다.(p.132- '기쁨'과 '조이'와 '엑스타시'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는 전혀 설명되어 있지 않다.)

앞서도 얘기했지만 신화 하나만으로 여성성의 성숙을 설명하는 건 다소 벅차 보인다. 프시케의 신화에서 '여성성'이라는 광범위한 주제를 이끌어내는 것보다는 아프로디테와 프시케의 갈등과 화해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게 오히려 흥미있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자신의 아들과 정을 통한 프시케에게 불가능한 숙제를 내며 질투에 몸을 떠는 아프로디테의 모습과, 아무런 반항 없이 그 과제를 수행하는 프시케... 그들의 관계를 보다 면밀하게 연구하면 더욱 흥미있는 성과가 나타날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