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들의 스캔들 창비청소년문학 1
이현 지음 / 창비 / 200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2학년생인 보라... 튀지도, 밟히지도 않는 평범한 학생이다. 그러나 비혼모인 이모가 교생으로 오면서 보라의 평범한 일상은 흔들리기 시작한다. 학급 아이들끼리 만든 비밀 카페에 이모의 사생활이 담긴 사진이 오르면서부터이다.

이야기 자체는 참으로 쉽게 술술 읽힌다. 그러나 읽으면서 잘 쓰여진 청소년 소설이라는 느낌은 들지 않았다. 

이모의 사진을 올린 L이라는 아이를 찾는 과정과, 담임인 럭셔리 장의 폭력, 학교내 불량 서클인 스톰과 연관된 은하의 가출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겉돌기만 한다. 아이들은 중심을 못 잡고 이리저리 우왕좌왕하기만 하고, 문제에 대처하는 어른들의 행동방식 역시 유치하고 답답하기만 하다. 

왜 이모는 아이들의 질문에 좀 더 진지한 설명을 해 주지 않았을까..? 중학교 2학년 아이들에게 "난 결혼은 안했지만 딸은 있어."라는 말만 해주었을 때 아이들이 받을 심리적 혼돈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것일까? 그리고 자신은 월급이나 받는 그저 그런 선생과는 다르다는 나름의 자부심을 갖고 있던 담임 럭셔리 장은 왜 감정을 제대로 추스르지 못하고 아이들에게 말도 안되는 폭력을 휘두르는 것일까...?

현실에서 보이는 모습과 인터넷상에서 보이는 모습은 당연히 다를 수 있다. 그 사이의 간극을 메꾸어나가고, 진짜 나의 모습을 찾아가는 것이 성숙이고 성장일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의 결말은 그러한 성장과 성숙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인다. 담임의 프락치 노릇을 했던 아이는 반 아이들의 은근한 따돌림을 견디지 못하고 대안학교로 떠나고, 학교와 담임에 대한 분노와 증오를 폭발하고 가출했던 은하는 결국 소설의 끝까지 돌아오지 않으며, L과 올빼미의 정체 역시 별다른 이유없이 몇몇 아이들만의 비밀로 묻히고 만다. 문제를 정면돌파할 듯 보였던 이모가 반을 바꿔 실습을 마치는 것 역시 비겁해 보인다.

소재 자체는 참신하지만 그 소재를 풀어가는 문제의식이나 엮어내는 솜씨가 아쉬웠던 청소년 소설이다.

<사족> 흔히 청소년 소설에서 학교측의 부당한 처사를 표현할 때 사용되는 게 무기정학이다. 그러나 적어도 의무교육인 중학교에서 무기정학은 사라진 지 오래다. 교내봉사(학교봉사), 사회봉사의 징계가 있을 뿐이고, 종종 등교정지가 있을 수는 있지만 그것도 정해진 일수 이상(보통은 2주)을 넘길 수 없다. 사소한 것이긴 하지만 청소년 소설을 쓰는 작가라면 좀 더 학교생활을 알아보고 글을 썼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