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는 뱃속의 일을 기억하고 있다 - 2009년 3월 고도원의 아침편지 추천도서
이케가와 아키라 지음, 김경옥 옮김 / 샨티 / 2003년 12월
평점 :
절판


재작년이었나, 내 옆자리 선생님이 다섯 살 짜리 자기 아이가 밥을 먹다 말고 뜬금없이 "난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엄마가 맘에 들었어."라고 얘기하더라는 말을 해주신 적이 있었다. "왜? 뭣 때문에 엄마가 맘에 들었어?"하고 물어보자 "노래를 잘 불러서..."라고 했다나~ 이 아이는 그런 종류의 이야기(엄마 뱃속에 있을 때, 태어나기 전 하늘나라에서 살 때)를 종종 해서 내 옆자리 선생님을 놀래켰다고 한다. 자기 아이가 혹시 신기가 있어 나중에 무당이 되려하는 건 아닌지 모르겠다고 걱정하던 선생님을 보고 "애가 농담하는 거겠지, 설마 뱃속에 있었을 때를 진짜로 기억하겠어?" 했는데 이 책을 읽으니 정말 그럴 수도 있겠구나.. 싶다.

물론 이 책에 설명되어 있는 79명의 아이에 대한 설문은 모든 아이를 대표하기 어려울 만큼 숫자가 적긴 하다. 그리고 어린 아이들이 정말로 자신의 경험을 말하는지, 부모가 자기한테 해 준 얘기나 어른들끼리 하던 얘기를 자신의 경험으로 착각하고 얘기하는 건지 구분하기 어려울 때도 많을 것이다. 그러나 정말로 아기들이 뱃속의 일을 기억하는지 아닌지가 중요한 건 아니란 생각이 든다. 기억을 하든 못 하든 중요한 건 태아가 편안하고 안정된 마음으로 엄마 뱃속의 열 달을 무사히 보내고, 가능하면 안전하게, 사랑을 듬뿍 느끼면서 세상으로 나올 수 있도록 부모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겠지.

그렇게 될 수 있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산모의 정서적 안정과 행복이 중요하다고 이 책은 강조한다. 당연한 얘기이겠지만 막상 임신을 하고 보니 변하는 내 몸에 적응하는 것도, 날 보는 주변 사람들의 시선에 익숙해지는 것도 생각만큼 쉬운 일이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기쁘고 행복한 만큼 불안하고 예민해질 때도 많다. 그럴 때 이 책의 내용을 떠올리며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려고 노력한다. 결국 최고의 태교는 아이의 두뇌를 개발하는 게 아니라 아이가 세상에서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하게, 행복하게 삶을 즐기고 때론 이겨나갈 수 있도록 그 자양분을 만들어주는 것이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