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초 편지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야생초 편지 2
황대권 지음 / 도솔 / 2002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옥중 편지를 모아 엮은 책 중 백미를 꼽으라면 주저없이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꼽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나 역시 고등학교 때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은 뒤 경어체의 단정한 문장과 부드럽지만 강인한 저자의 비판적 시선에 반했고, 감옥이 때로는 사람의 정신을 견고하게 다지는 사색의 장소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새롭게 깨달았다.

그로부터 십수 년의 시간이 지나 황대권의 <야생초 편지>를 읽게 되었다. 이 책이 '느낌표'에 소개되어 베스트셀러가 되었던 것이 벌써 3~4년 전의 일이니 어쩌면 나의 독서는 시대의 유행에 크게 뒤떨어진 뒷북 독서인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좋은 책을 만나 감동을 받는 데 유행이 어디 있을까? 뒷북이지만 지금이라도 이 책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이 감사하다.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 제목 그대로 자신과 세상에 대한 관조와 사색을 담고 있다면, <야생초 편지>는 같은 편지글이면서도 <감옥으로부터의 사색>보다 훨씬 생동감있게 느껴진다. 그 때문인지 읽는 마음도 부담이 덜하다.

아마도 그 생동감은 그가 야생초와 함께 하는 생활을 했기 때문에 가능했을 것이다. 교도관의 삽질에 내동댕이쳐지고. 비바람과 가뭄에 스러지면서도 끊임없이 솟아나 생명을 이어가는 야생초를 보면서 어찌 삶의 의욕을 저버릴 수 있었을까? 저자는 글 중간중간 "내가 감옥에서 나가면 이러저러한 생활을 해야겠다."는 결심을 하고, "내년 명절은 꼭 가족들과 함께 보내고 싶다."는 소망을 내비치는데, 그의 그런 모습은 그가 아끼고 사랑하는 야생초와 꼭 닮은 모습이다.

자신에게 누명을 씌워 감옥에 가두어놓은 권력에 대한 원망과 증오가 눈에 띄지 않는 것도 야생초와 비슷하다. 야생초가 자신을 척박한 땅에 뿌리내리게 만든 바람을 원망하지 않고, 있는 그 자리에서 충실한 삶을 살아가듯이 저자 역시 원망과 증오보다는 끈질긴 생명력으로 살아남는 쪽을 택한 것이겠지.

그러나 있는 자리에서 충실한 삶을 살아가는 것이 모든 부조리를 덮고 넘어가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저자는 "생태"라는 넓은 틀 안에서 조용하지만 힘찬 몸짓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인간과 환경이 떨어질 수 없는 운명 공동체임을 알고 있기에 그의 노력이 고마울 뿐이다.

아직 이 책을 읽지 못한 사람이 있다면, 뒷북이어도 좋으니 꼭 한 번 읽어보시라고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