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경 없는 마을 - 외국인 노동자, 코시안, 원곡동 사람들이 만들어가는 '국경 없는' 이야기
박채란 글 사진, 한성원 그림 / 서해문집 / 2004년 11월
평점 :
이 책에 나오는 안산시 원곡동은 여러 문화, 여러 국적을 지닌 사람들이 모여 사는 마을이다. 책 제목인 <국경없는 마을>은 외국인 노동자 집단 거주지역이 된 원곡동을 일컫는 말인데, 책 속에는 그들이 직접 들려주는 삶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우리가 '외국인 노동자'라는 이름으로 뭉뚱그려 상상해 왔던 그들의 일상생활과 생각들이 구체적인 모습으로 드러나 있어 청소년들이 나와 다른 피부색, 인종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갖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손색이 없을 듯 하다.
특히, 외국인 노동자를 단순히 동정이나 도움이 필요한 대상으로만 바라보지 않는 공정한 시각이 마음에 든다. 책은 한국인이든 외국인이든 '좋은 사람은 좋고, 나쁜 사람은 나쁜다.'라고 이야기한다. 우리나라 사람들도 선한 사람, 악한 사람이 섞여 있듯이 외국인 노동자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이 말 속에는 그들을 나와 다른 특별(혹은 이상)한 사람이 아닌, 우리와 똑같은 평범한 사람으로 바라봐야 한다는 작가의 주장이 담겨있다.
어쩌면 이게 인권의 기본이 아닐까? 나와 다른 무언가를 특별히 존중하고 배려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자연스럽게 바라보고 당연하게 여기는 것, 함께 어울려 놀기도 싸우기도 하면서 서로 얽혀 살아가는 것... 이 책은 이제는 우리의 이웃이 된 외국인 노동자나 그 자녀들과 그렇게 얽혀 살아가는 방법을 가르쳐 주고 있다. 물론 어떠어떠한 생각과 행동을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아니다.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그들의 삶을 그들의 목소리로 들려주면서, 친구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듣듯 마음을 열고 그들을 이해하게 해 준다. 그렇게 마음 속의 담장을 서서히 허물게 해 주는 것이 바로 이 책의 미덕이다.
얼마 전 내가 근무하는 학교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이 몇 명인지 조사를 했다. 외국인 학생이나 혼혈 학생이 몇 명이나 되는지 알아보는 조사였다. 신도시 아파트촌 한가운데에 위치한 학교여서인지 우리 학교엔 다문화 가정 학생이 한 명도 없었지만, 아이들이 이러한 책을 통해서나마 좁은 '우리'의 울타리를 넘어 진정한 '우리'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