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지도 - 동양과 서양, 세상을 바라보는 서로 다른 시선
리처드 니스벳 지음, 최인철 옮김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소 어려운 주제를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이 책은 어렵지 않다. 비교적 쉽고 편하게 읽을 수 있있다. 그건 아마도 연구에 직접 참여했던 학자가 번역을 맡았기 때문인 듯 하다. 번역자는 단순히 영어를 한국어로 옮기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실험에 담겨있는 의도와 과정을 쉽게 풀어 설명하기 위해 노력한다. 어려운 전문용어를 무작정 직역하여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우를 범하지 않은 것은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동양과 서양을 갈등과 대립의 시선으로 바라보지 않고, 객관적이고 공정한 입장에서 기술하고자 한 점도 돋보인다. 한국어판 서문에서 저자는 아무리 균형잡힌 시각으로 쓰더라도 자신이 서양인인 이상 동양인들에게 불쾌하게 비칠 수도 있을 거라며 우려했지만 나는 책을 읽으면서 그런 불쾌함을 단 한 번도 느낀 적이 없었다.

그러나, 많은 실험을 설명하고,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식은 불만스러웠다. 저자는 자신의 연구가 매우 과학적인 가설과 실험, 그리고 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고 강조하고 있으나 그 결과를 설명하는 방식은 모호하고 두루뭉실하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사회심리학자인 아라 노렌자얀, 최인철, 그리고 나는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들이 행동의 발생 원인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의 문장들을 제시하고 각 문장에 동의하는 정도를 점수로 매기게 했다.

((   제시 문장 1. 2. 3   ))

실험 참가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성격을 중시하는 1에 대해서는 한국인이나 미국인이나 동일한 정도로 동의했으나, 상황을 강조하는 2의 성격과 상황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3에 대해서는 한국인이 미국인보다 훨씬 더 강하게 동의하는 경향을 보였다. (117P)

적어도 이 실험이 언제 이루어졌는지,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들이 각각 몇 명씩이나 실험에 참가했는지, '훨씬 더 강하게'가 과연 어느 정도를 의미하는지 정도는 알려주어야 정확한 정보 전달이 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이 책이 전공자를 위한 학술서가 아니라 일반인들을 위한 교양서란 점을 십분 이해한다 해도, 실험의 기본 조건조차 모른 채 책을 읽어나가는 건 그야말로 수박 겉핥기밖에는 될 수 없다. 

만약 개정판이 나오게 된다면 책이 두꺼워지고 가격이 올라가는 한이 있더라도 정확한 수치가 함께 표기되어 읽는 사람들이 좀 더 풍성한 정보를 얻고 책 읽는 즐거움을 누릴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렇다고 책 값이 진짜 올라버리면 곤란한데... 사실 이 책에 하나 더 불만을 덧붙이자면, 굳이 하드커버일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이 책 뿐 아니라 최근 출간되는 책들 중 상당수가 하드커버인데 요즘 책들은 종이 질이 좋아서 하드커버 아니어도 충분히 오랫동안 소장할 수 있는 게 대부분이다. 하드커버만 아니면 이 책도 값을 조금은 내릴 수 있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