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덕 윤리과 수행평가
차우규 외 지음 / 백의 / 2000년 1월
평점 :
절판
거의 모든 학교에서 수행평가는 과제와 태도의 두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과제는 교과에 따라 다시 몇 가지의 주제로 나누어지고, 태도는 발표, 수업태도 및 준비물 상태 등을 종합하여 평가를 한다.
처음 수행평가가 도입될 때는 학기별로 2회 정도 실시되는 지필평가만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데 따른 부작용을 해소하고, 학생의 평소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것이 목적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제 수행평가는 아이들의 평소 학습동기를 유발하기보다는 점수 나쁜 아이들이 손쉽게 점수를 보충할 수 있는 수단, 객관성과 공정성이 결여된 선생 맘대로의 평가로 굳어지는 느낌이다.
나 역시 수행평가를 실시할 때마다 많은 어려움을 겪어왔던 터라 방학을 이용하여 좀더 질높고 공정한 수행평가를 실시하려면 어떤 노력과 방법이 필요한 지 알고 싶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그러나 책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 책의 1/3 이상을 이론적 기초와 외국의 예를 드는 데 치중하고 있어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수행평가의 예를 찾기는 어렵다. 게다가 나머지 분량에 초, 중, 고등학교 모두의 수행평가 방안을 차곡차곡 쌓아놓았는데, 역시 이론에 치우쳐 있어 실질적인 활용 방안을 찾고자 했던 나의 의도와는 어긋났다.
그리고 초등, 중등, 고등을 각각 한 사람씩 맡아 글쓰기를 했다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는다. 그 한 사람의 이론이 올바르다고 누가 보장할 수 있나? 적어도 교육과정을 함께 만들었던 현직교사와 대학교수, 교육과정평가원의 연구원 등이 함께 모여 머리를 맞대고 힘을 모아야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 방안이 도출될 수 있을 텐데 그렇지 못한 것이 아쉬웠다.
의도와 맞지 않는 책을 선택한 나의 잘못도 있지만, 정말로 수행평가와 관련해 일선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책을 만들었다면 좀 더 다양한 예와 방법을 보여주고,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해주었어야 하는 것 아닐까? 책을 덮고나서도 마음이 답답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