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타는 혀
이명원 지음 / 새움 / 200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리석은 자는 자기 마음을 혓바닥 위에 두고, 현명한 자는 자기의 혀를 마음속에 둔다.'(인도 속담) '타는 혀'의 칼날은 상대방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도 향한다.'라며, 임규찬은 「문학과 사상」(계간)에서 이명원의 <타는 혀>를 비꼰 바 있다. 아울러, 임규찬은 '인물비평식 논조'와 '전사처럼 거친 포즈'를 취하기 때문에 그를 비판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는 또 하나의 '인물비평식 논조'일 뿐이며, '공격적'이진 않더라도 적어도 '공격적 방어'자세일 뿐 이다. 마치 궁지에 몰린 약자처럼 '협박'을 하며 비평을 끝맺고 있는 점에서 이는 보다 확연하게 드러난다.
우리네 문단이 침묵의 카르텔을 형성하고, 내부에서는 '겁주기'와 '달래기'로 자기 검열을 무마시켜 온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그가, 아니 자신이 물든 세계의 수법을 그대로 모사하는 것이겠지.
내가 이명원을 알게 된 것은 꽤 오래 됐다. 우연히, 서울 시립대 '국문과 자료실'에서 그의 글을 접하고, 그의 비범함을 알아챘다. 소위 '김윤식' 사태이후 그의 글은 갑자기 게시판에서 사라져 버려서, 이 글을 읽고 그의 글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은 실망할 것이다. 임규찬의 비꼼과는 달리, 그는 비교적 젊은 평론가면서도 여러가지 미덕을 두루 갖춘 인물이다. 명확한 논거, 논리 전개, 적당한 감수성, 건실한 이론, 잘 읽히는 문장 등등.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명원을 이명원 답게 하는 것은, 그의 이데올로그적 태도며 실천이다.
이명원은 이 시대 이 나라 문학계의 하나의 이데올로그로 등장했다. 그것은 멈출수도 거부할 수도 없는 흐름이다. 그를 이렇게 만든 사회와 문단은 아직도 냉혹하며 무관심하지만, 그 밖의 세상은 그를 통해 새롭게 눈을 뜨고 있다. 그를 이데올로그라면서 비아냥거리는 그 안쪽의 사람들은 개념치 말도록, 항상 개연성 있는 반응일뿐 오히려, 밖의 변화에 주시하도록.
'이문열의 친정 옹호'반응이 장안의 화제가 되는 요즈음이다. 이문열을 호되게 비판하는 이명원의 목소리는 그래서 아직도 유효하다. 그런 사실이 한편으로 원망스럽고 안쓰럽기도 하지만, 그게 현실이다.
그러나, 이문열의 전도된 관점을 '흔들어 주기'할 사람들은 아직 많다. 그것도 젊은 부류에서 이데올로기는 죽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