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진 하루 KBS2 채널이 나오지 않고 나서야, 난 우리집이 케이블 가입자라는걸 알았다. 그래서 알았다 내가 꽤 그 드라마를 보고 싶어했었구나. 발을 동동구르며 이리저리 찾아다니며 볼 정도는 아니지만 그럼에도 난 꽤 그 산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 드라마를 보고 있었구나. 브레인은 처음 1,2회를 보고 나서 이강훈이라는 캐릭터를 이해할 수 가 없어서 내팽개친 드라마였다. 어머니에 대한 태도를 포함한 그의 모든 것이 '저 캐릭터는 도대체 뭐지?' 라는 의문을 던질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일정 부분 그 드라마는 내게 공백이었다. 처음부터 보지 않은 이상 관심도 없지만, 더군다나 그런 비상식적인(?) 모습만 잔뜩 본 나에게 <브레인>은 그냥 그런 드라마였다. 그래서 그 두 남녀 중니공의 러브신은 죄다 단 한 장면도 보지 못했다.(아 슬프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간간히 스치듯 보게 된 드라마 - 아마 이강훈의 어머니가 돌아 가시고 나서 위기가 겹으로 닥치는 부분 부터이지 싶다 - 가 이제는 작가의 엄한 스토리를 따라가면서도 꼭 보고 있어 버리게 된거다.

 

문제는 이강훈이라는 캐릭터인데, 끝까지 갈등을 해결하는 듯 하지만 모든 내면의 갈등을 그대로 안고 살아가는 캐릭터를 제대로 연기한게 아닌가 싶다. 마치 정진영이 연기한 캐릭터는 결국 이강훈의 다른 면이었던 셈으로 성공을 향해 무한질주를 하는 자신의 다른 면이었던게 아닐까.

 

지혜라는 캐릭터가 더 이상 자신의 옆에 없을 거라는 현실을 직면했을 때, 자신의 성공과 직면한 바로 그 순간 정진영이 나타나 '이름을 떨치게 되서 행복한가. 소중한걸 잃을지도 모르는데 그럼에도 행복한가' 라고 묻는 장면이 결국 이강훈의 갈등이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복하다고 말하는 그와  '그럼...그럼에도 행복해야지'라고 말하는 정진영이 만나는 마지막 장면이 이강훈이라는 캐릭터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갈등이고 해결되지 않는 문제이다. 문제는 지혜가 이강훈에게 돌아옴으로써 그의 이런 갈등이 해결된 것처럼 - 소위 일과 사랑을 모두 얻은 - 보이지만 과연 그런가라는 의문을 계속 남긴다는 점이다.

 

그는 멈추지 않을 것이며 - 그의 대사에도 나오지 않는가 - 살아가는 순간순간 이런 끊임없는 갈등을 가지고 살아가야 할텐데, 과연 그의 모든 갈등은 해결된 것인가. 이야기가 해피엔딩이다 열린 결말이다 라고 말하지만 과연 난 해피엔딩인건지 의문이다. 해피엔딩의 기준은 남녀 주인공이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면 끝나는 건 분명 아닐텐데. 이강훈이라는 캐릭터가 드라마를 끌고 온 이상, 그 인물이 가지고 있는 해결되지 않는 갈등에 대한 이 결말은 무엇을 말하는걸까. 이번 설에는 다시 한번 처음부터 봐야겠다.

 

 

 

(이 포스터는 정말 드라마를 한 장면으로 압축하는구나)

 

난 내가 이강훈이라는 캐릭터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가 그의 도도함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인생에 거침이 없고 양보란 없고 목표지점을 향해 쉬지 않고 달리는 그의 열정, 그 열정에서 나오는 도도함. 그 도도함이 결국 매력적인 캐릭터를 만든게 아닐까.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이강훈을 매력적인 캐릭터라고 생각하는 이유도 크게 다르지 않을거라고 생각한다. 이런 캐릭터를 현실에서 만나기는 정말 어려우니까. 이런 캐릭터를 실제로 만나본다면 삶에 대한 열정을 느껴볼 수 있을텐데. 의외로 삶에 열정적인 사람은 만나기 어렵다는 반증이 아닐까. 이강훈이라는 캐릭터의 인기는.

 

 

+ 첨언을 한마디만 더 하면, 이 드라마를 보고 있으면 최수종씨가 주연을 맡았던 <프레지던트>가 떠오른다. 이 드라마도 다시 봐야겠다. 욕망을 향해 달려가는 사람. 이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