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3 - 승자의 혼미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3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예전에는 어떻게 썼는지 모르겠다. 어쩌면 카이사르가 등장하는 전권이라고 생각해서 급하게 읽어내려 갔을지도 모른다. 마리우스와 술라, 그리고 과두정으로 대표되는 공화정과 제정 사이에서 어정쩡하게 서있는 로마의 모습을 이야기했을지도 모른다. 이 글을 끝내고 그 글을 찾아 볼 생각이다. 아마 작년까지 읽었을 때는 이 얇은 , 시리즈 중에는 제법 얇은 편이다 , 한 권의 책이 이토록 중요한지를 왜 몰랐을까 싶다. (어쩌면 알았을 수도 있다)

 

이 책은 그라쿠스 형제부터 술라의 죽음 이후 폼페이우스의 전성기까지 공화정 로마의 절정기 이후 혼란의 시대를 말한다. 한마디로 도시 국가 로마에서 제국 로마로 나아가면서 현재의 정치체제가 유효한지, 유효하지 않다면 어느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 지를 치열하게 고민한 시대이다. 어느 시기보다 중요했던 만큼 그 고민은 치열했고 또한 격렬했다.

한니발 전쟁으로 대표되는 카르타고와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바야흐로 작가의 말대로 지중해 바닷물이 닿는 지역은 로마의 속주나 동맹국으로 채운 그 위대한 시대. 감당할 수 없을만큼 급격하게 커지면서 도시국가에서 제국으로 나가는 발판을 세운 로마. 현재의 과두정으로 대표되는 공화정이 계속 유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파와 있으면 그렇지 않은 파도 있는 법. 서로간에 내전이 벌어지고 평민의 대변인인 호민관이 로마 시민에게 살해되고, 집정관이 로마에서 살해되는 일이 벌어지는 시대. 이 시대가 '승자의 혼미'에서 그리고 있는 시대이다.

 

" 이따금 역사는 갑자기 하나의 인물 속에 자신을 응축시키고, 세계는 그후 그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좋아하는 법이다. 이런 위대한 개인에게 있어서는 보편과 특수, 멈추는 것과 움직이는 것이 한 사람의 인격에 집약되어 있다. 그들은 종교나 문화나 사회 위기를 구현하는 존재다.....
위기는 기존의 것과 새로운 것이 뒤섞여 하나가 되고, 위대한 개인 속에서 정점에 이른다. 이런 위인들의 존재는 세계사의 수수께끼다."

- 시오노 나나미/ 로마인이야기 3 승자의 혼미


사실 역사는 간단하게 흘러갔다. 마리우스에서 시작한 로마 공화정의 투쟁은 술라를 거쳐 잠시 회귀하는 듯 하였으나, 결국 카이사르에 이르게 되면 제정의 방향으로 착실히 나아가게 된다고. 하지만 이 책을 읽으면서 정말 내가 궁금한 점 한가지는 마치 시대의 흐름은 마리우스와 카이사르로 대표되는 민중파가 결국에는 제정으로 이러지게 되지만, 과연 민중파는 공화정 이후의 제체를 제정으로 염두에 두고 있었던 것일까 라는 점이다. 이 책에서는 '민중파'라는 이름으로 소개하고 있는 이들 정치 세력의 진정한 정체는 무엇일까.

 

원로원이라는 귀족으로 대변되는 그들만의 정치를 넘어서서 평민들도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사회와 시대를 원했던 것일까. 그라쿠스 형제도 로마의 안정을 위해서는 일반 시민들의 삶이 안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렇기 때문에 농지개혁을 단행했다. 마리우스도 비슷한 선상에 있을지 모른다. 카이사르 이전에 민중파와 원로원의 대립은 결국 권력투쟁이었을 뿐, 제정이냐 혹은 공화정이냐를 결정할만한 권력투쟁은 아니었다. 3권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그 누구도 어쩌면 제정의 도입은 생각조차 하고 있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결국 이야기는 4권으로 이어져 비로소 카이사르가 등장하게 되고, 민중파의 이름으로 세상에 등장한 카이사르가 제정의 시초를 놓게 된다. 그리고보면 민중파라는 이름으로 등장해서 제정으로 로마의 방향을 잡았다는 사실에 재미난데, [로마인 이야기] 전체를 읽어봐도 이처럼 압축적인 분량에 격렬한 시대는 없었지 싶다. 그야말로 쟁쟁한 가슴뛰는 남자들의 이야기로구나 싶어서 절로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사족으로 제국에 대한 시오노 나나미의 생각이 이처럼 잘 들어난 권도 없지 싶다. [로마인 이야기]를 읽으면서도 시오노 나나미의 제국에 대한 시선은 늘 경계하니 이 또한 아이러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