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자들의 섬 밀리언셀러 클럽 3
데니스 루헤인 지음, 김승욱 옮김 / 황금가지 / 200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스릴러,공포, 추리 장르에서 마음에 드는 책을 만나는 일을 쉽지 않다. 기법상 엄청난 트릭을 발견하자니 이미 트릭은 20세기 초반 작가들이 쓸만큼 써버린 느낌이다. 테크닉적인 요소는 더 이상 새로운게 없어서 - 새로운 트릭이 등장하기도 하지만 더 이상 소설은 트릭에 감탄하는 시대는 분명 아니다 -  새로운 것이라면 테크닉 외의 다른 면 이를테면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이나 그 안의 주인공의 심리에 흥미를 느끼게 된다.

대표적으로 온다 리쿠의 소설은 스릴러, 공포, 추리 장르라고 딱 잘라 말할 수 는 없지만 - 그래도 대중적으로는 이미  그렇게 분류가 되고 있으니 - 그의 소설에서는 테크닉이 아닌 서술을 하는 방식의 독특함에 사람들이 매료 당한다. 광고문구따라 노스텔지어의 마법사라고 하지만 그의 소설 속  사건 자체는 굉장히 간단하다. 통상 몇 단계를 거치고 소설이 끝이 난다. 소년 혹은 소녀가 - 아무튼 성숙한 어른은 아닌 연령들이다 -  여행을 가거나 혹은 어떤 사건에 휘말린다.  기억을 더듬어 가며 사건을 진상을 밝히려고 노력한다.  

결국 사건의 진실은 밝혀지지만, 이야기는 그 즈음 되면 진실은 사실 의미가 없어진다. 그 진실을 추적하는 과정 속에 있는 인물들이 더듬는 과거가 중요해지고 그 속에서 밝혀지는 이야기를 전개하는 주인공 조차도 잊고 있던 이야기가 중요하다. 그래서 간혹 결말은 허망하며  황당하기까지 하지만 소설을 덮고 나면 꽤 오래도록 곱씹게 된다. 온다 리쿠의 힘은 이야기 속에 사람들이 언제 몰입하는지를 알고 있다는 점이 아닐까. 데니스 루헤인처럼.

데니스 루헤인의 소설 [살인자들의 섬]은 정신병원이 있는 외딴 섬에 수사차 방문한 두 연방형사의 이야기이다. 폭풍우가 몰아치는 외딴 섬에서 한 환자가 사라지고, 이를 수사 하기 위한 방문이다. 하지만 이 두 형사는 사라진 환자 찾기 이외에도 각장 다른 목적을 가지고 이 섬으로 들어왔다. 섬 안에 있는 관리인, 의사들은 모두 두 형사에게 비협조적이며, 사라진 환자에게는 알 수 없는 비밀스러운 단서들이 계속 발견된다. 두 형사는 폭풍을 뚫고 폐쇠된 병동까지 들어가서 정신병원에서 하고 있는 '치료'의 실체와 이 섬이 진짜 어떤 병원인지를 알게 된다. 그 와중에 주인공 테디의 동료인 형사는 사고로 사라지게 되고, 주인공 테디 마져도 이 섬에서 빠져나갈 수 없는 지경에 빠지게 된다.

이 정도가 대충 소설 [살인자들의 섬] 의 줄거리이다. 당연히 눈치챘겠지만 이 소설 다음에는 으레 그러하듯 나름의 이야기가 결말로 준비되어 있다. 사람들은 충격적인 결말이라고 할말큼 놀라운 이야기 전개였던 점은 분명했다. 솔직히 소설 중반까지는 섬의 어두운 면이 잔뜩 부각되어, 비밀스러운 섬에서 벌어지는 비밀스러운 일에 말려든 형사가 탈출하는 소설이라고 생각했다. 흔한 음모론 이야기가 그러하듯  주인공은 어떻게든 섬을 탈출해려고 하며, 탈출하지 못하는 주인공을 보면서 답답하고 초초해 했다. 그러니 마지막 장을 읽은 내 마음이 어땠을지는 읽어본 사람이 아니면 모를 거다. 더 기막힌건 모든 이야기가 정리 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는 순간, 맨 마지막에 있는 두 장에 한번 더 나를 후려쳤다는 - 이런 격한 표현을 쓸 수 밖에 없다 - 것만 말해두겠다. 

소설에서는 지나치다 싶을만큼 그 인물의 내면, 특히 과거 인물이 겪었던 사건의 영향을 따라간다. 장르 이름을 붙인다면 심리 스릴러 라고 할 수 있으려나. 주인공 테디는 화제로 죽은 아내를 끊임없이 상기하며 괴로워하고, 그녀가 죽게 된 화재를 저지른 범인을 찾는 일이 그에게 안식이 될 거라 믿는다. 섬에 도착해서 그 범인을 찾아 헤매는 동안 그는 끊임없이 죽은 아내의 환상에 시달린다. 과연 그는 범인을 찾고 안식을 얻을 수 있을지 따라가는 재미가 솔솔하다.

사실 이 소설을 끝까지 읽으면 둘 중 하나이다. '이게 뭐냐 허탈하다' 는 반응과 '대단하다'는 반응일텐데, 양 쪽에서 중간은 없겠다 싶다. 그야말로 좋거나 혹은 나쁘거나이다. 음모론 같은 이야기를 한창 풀어내면서 '주인공이 위험한데'라는 생각을 마구 하게 해서 긴장감을 조성하지만, 그 주인공이 - 사실은 독자가- 만나는 결말은 말도 안돼, 이게 다야? 라는 마음이랄까. 이야기의 실타래를 따라가면서 실타래를 푸는 일이 재미가 있는 사람도 있고, 다 풀린 실타래에 희열을 느끼는 사람도 있는 법이니까. [살인자들의 섬]은 실타래를 고생해서 풀었는데, 그 끝에는 사실 실타래를 풀 필요가 없었던거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게 하는 소설이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