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의 가을에서 거닐다 >

이택광씨의 전작이 <근대 그림속을 거닐다>였다. 근대 그림을 통해 근대 사회와 사람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었는데 꽤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왔다. 덕분에 이택광의 이름을 간간히 검색하다가 걸린 책이다 (사실 이 책은 책을 조금 보면 시리즈라는걸 알 수 있다.) 중세-근대-현대 3부작으로 계획된 책인 듯 하며 이 책의 끝 부분에는 현대부분이 곧 출간된다고 쓰여있다. 

전작 <근대 그림속을 거닐다>는 이미 중세미술에 대한 진중권이 책을 읽어서 인지 많이 가슴이 와닿을 만큼 감동적이지는 않아서 조금 아쉬웠다. 내가 중세미술에 대한 책으로 얼마전에 읽었던 <춤추는 죽음>이 너무 세세하고 인상적으로 읽어서 이택광의 <중세의 가을에서 거닐다>는 조금 아쉬운 맛이 없지 않았다. 다만 진중권의 책은 너무 자세하고 긴 맛이 있어서 이택광의 책을 통해 중세 그림을 컬러로 '읽는' 재미를 느끼고 나서 진중권의 <춤추는 죽음>을 읽으면 정말 재미있게 읽을 수 있을 듯 하다. 강력추천.


진중권의 신간 <교수대 위의 까치> 중대 겸임교수에서 물러나면서 나온 책이라 특히 관심이 생긴다. 사실 중대학생들에게 가장 부러운 점은 진중권이라는 사람의 미학 수업을 들을 수 있다는 거였는데, 이제 그것도 사라졌군. 

<교수대 위의 까치>는 위에서 소개한 <춤추는 죽음>을 읽은 사람이라면 조금은 익숙할 그림들이 많이 실린 책이다. 미술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것을 알지 못해서 진중권식 그림 읽기가 얼마나 신선하고 조금은 기발한지 확인할 수 없다는게 조금 아쉬운 점이다. 난 이 책 하나로 진중권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그림을 '읽고'있을테니 말이다. 그런 면에서 그가 소개한 다른 그림을 조금 다른 방식으로 소개한 책에 대한 갈증이 더 많이 남게 된 책이다. 전반적으로 일반인이 읽기에는 무난했지 싶다. 

2년 점 쯤 이미 다른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인데 어떻게 2년만에 다른 출판사에서 나왔는지 도통 알 수 없는 책.
영화화 되어 개봉하는 후광을 누리고자 하는 - 일명, 영화의 원작 소설들 - 불순한 의도가 다분히 느껴지는 책이라 할 수 있다. 사실 이 책을 읽으면서 진지하게 time table을 그려보지 않아서 얼마나 소설이 치밀한지는 모르겠으나, 이 책은 구성의 치밀함 보다는 아마도 감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 같아서 감상의 포인트가 나와는 조금 다르지 싶다. 

결국은 시간을 여행하는 남자와 그런 남자를 어린 시절부터 쭉 사랑한 -그야말로 거의 평생에 걸친 사랑이로군- 여자의 이야기이다.
남자와 여자가 처음 만났을 때, 남자는 30대, 여자는 6살. -_- 잘못하면 범죄가 되기 쉬운 - 내 사상이 불순한건가? - 이야기인데, 그 부분을 잘 넘겼지 싶다. SF와 스릴러와 로맨스의 중간에서 위태하다고나 할까?
아직 2권을 못 읽어서 확답할 수는 없으나 일단 읽어보고 싶기는 하다. 

한겨례에서 해마다 진행하는 6인 6색 강연회. 올해는 화를 주제로 해서 강연회가 열렸던 모양이다.
올해는 다소 주제가 너무나 시의성이 맞는 것이라 생각을 하게 하는 주제라고 보기에는 2%가 부족했다.거짓말이나 상상력,자존심 시리즈가 상당히 좋았는데 조금은 아쉬운 주제였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