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검의 대가 ㅣ Mr. Know 세계문학 18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 지음, 김수진 옮김 / 열린책들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는 꽤 재미난 작가이다. 그의 책 홍보 문구에 적혀 있는 가장 많은 문구는 '움베르토 에코' 와 비교하는 글이다. 사실 움베르토 에코와 아르투로 레베르테의 공통점은 작품을 위한 '방대한 지식'이고, 기막히게 재미난 이야기들 뿐이라고 생각했다. 아르투로 레베르테 에게는 움베르토 에코에게 있는 이야기 속 여운과 깊이가 없었다.
요컨데 <향수>에서 -이 책은 쥐스킨스의 작품과 이름이 같은 불운한 작품이다- 에코는 향수의 어원을 따라가 이렇게 정의한다. 향수는 무지에서 오는 고통이라고. 나는 여기에 있고 너는 그곳에 있는데 너의 상태를 모른다는 무지에서 오는 고통애 향수라고. 이 얼마나 가슴이 뛰는 문장인가. 요컨데 움베르트 에코와 아르투로 레베르테의 차이를 난 이 한 문장이라고 생각했다. 자 봐라고 하고 싶을 정도로 주제에 대한 지식을 꽉꽉 채워넣어서 재미있는 글을 똑같이 많이 쓰지만 이 가슴에 남는 단 한줄을 쓸 수 있느냐 쓰지 못햐느냐의 차이가 바로 두 작가의 차이이다. 난 그렇게 생각했었다. <검의 대가>를 읽기 전까지는.
아르투로 페레스 레베르테의 <검의 대가>는 검술 교사인 돈 하이메의 이야기이다. 일단 배경은 스페인이고, 시대는 18세기이며 한마디로 영웅과 반역자가 난무하는 그런 어지러운 시대이다. 모든 사람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오늘은 어디까지 반군이 올라왔다는 이야기가 화제가 되는 시대에 그런 이야기에 초연한 검술 교사 돈 하이메가 있다. 그는 검술이 이전 시대의 소중한 기사나 신사의 덕목이 아닌 - 검술이 목숨을 담보로 하는 결투를 하는 도구였던 시절이랄까 - 스포츠로 인식되어가는 그런 시대에 살고 있다. 그는 그런 현실이 잘 이해도 되지 않지만, 담배 한대 태우고 무심히 중얼거릴 듯 하다. '흠 그래도 할 수 없지'. 돈 하이메에게 중요한 것은 귀족의 자제들에게 검술을 가르치는 일과 그가 지금 집필중인 검술에 대한 책이다. 물론 요즘은 검술을 배우려는 사람도 많지 않아 이래저래 힘들고, 그가 집필중인 책은 그가 꼭 넣고자 하는 '완벽한 검술'을 찾지 못해 지지부진이다.
돈 하이메에게 어느 날 아델라 데 오테로라는 여인이 찾아와 그의 검술 중 가장 뛰어난 공격술을 배우기를 청한다. 18세기 여자가 검술을 배운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었던 돈 하이메지만, 그녀의 검술을 보고 자신의 검법을 사사한다. 그 검법을 배우던 그녀는 돈 하이메에게 그가 검술을 가르치는 한 후작과 연결해줄 것을 부탁하고, 그녀를 사랑하지만 그 둘을 돈 하이메는 연결해준다. 그러던 어느 날 후작은 살해되고, 아델라 데 오테로도 살해당한채로 발견된다. 돈 하이메는 당연한 말이지만 후작에 대한 복수와 아델라 데 오테로의 복수를 위해 무언가를 하기로 결심한다.
<검의 대가>가 이전에 아르투로 레베르테의 작품들과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사실 이 소설의 마지막 단락 때문이다. 사실 마지막으로 소설이 향할 수록 한 페이지가 아쉬워서 아껴가며 읽었었다. 돈 하이메가 절대 마주하고 싶지 않았던 적과 마주해 그와 검술 대결을 펼치고, 그 검술 대결의 끝을 보는 순간, 돈 하이메의 모습을 그의 일생을 요약한 단 한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돈 하이메라는 캐릭터는 이 소설의 전부이다. 모든 것이 빠르게 변해가는 시대, 모든 사람들이 정치에 신경쓰고 시시각각 변해가는 흐름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귀를 쫑끗 새우고 눈을 부릅뜨고 살아가는 시대, 그 시대에 돈 하이메는 시대에 무심한듯 하지만 그 시대 속에서 자신의 원칙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정치가의 이름도 세간에 떠도는 사건도 제대로 모르지만 그는 세상에서 자신이 지키고자 하는 가치를 - 그 가치를 무엇이라 말해야 할까. 고결함이라 해야할까 명예라 해야할까. 돈 하이메의 삶을 방식을 무어라 칭해야 할지는 모르지만 그런 인간형을 소설에서 직면할 때는 덩달아 그저 지켜보게 된다. 그 뿐이다. <검의 대가>를 기막힌 소설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는 이유의 90%쯤은 돈 하이메라는 도저히 말로는 제대로 설명할 수 없는, 소설을 들이밀고 읽어보라고 말할 수 밖에 없는 캐릭터이다.
사실 이 소설의 마지막 단락을 읽으면서 깜짝 놀랄 수 밖에 없다. 그가 이런 상황을 겪고 나서 더특한 것이 그가 그토록 일생동안 찾던 완벽한 공격술이라는 사실이, 이런 결말을 배치한 작가의 글쓰기에 깜짝 놀랄만 하다. 오랜 여운이 남는 책장을 덮고 나서 그런 생각을 했다. 세상에 이런 마지막 문단이라니. 돈 하이메는 이 완벽한 공격술을 그의 책에 적으면서 - 적을지도 확실하지 않지만 - 무엇을 생각할가. 아델라 데 오테로를 생각할까. 오래도록 깊은 여운이 남는 결말이다.
|
|
|
|
이 모든 것과 격리된 채, 시간의 흐름도 정지해 버리고 모든 것이 침묵 속에 침잠해 버린 것처럼 고요와 정적마니 감도는 검술 연습실 한가운데에는, 노인 하나가 거울 앞에 서 있었다. 그는 날씬하고 차분한 외모를 지녔고, 약간 매부리코에 이마가 넓었으며, 머리는 백발이었고 코수염은 회색빛은 띠고 있었다. 셔츠 소매를 걷어붙이고 있었고, 옆구리가 온통 피로 젖었으며 피딱지가 말라붙어 가고 있었지만 전혀 개의 치 않는 것 같았다. 그의 자세에는 긍지와 자부심이 묻어났고, 오른쪽에는 이탈리아식 손잡이가 달린 플뢰레를 들고 있었다. 두 다리는 약간 구부리고 있었고, 왼팔은 어깨 위쪽으로 직각으로 쳐들고 있었으며 손목만 꺽어 손이 앞으로 향하도록 하고 있었다. 전형적인 전통 검술 자세였다. 손바닥이 깊이 베인 것에도 전혀 관심이 없는 듯 했다. 그는 말없이 거울 속 자기 모습을 들여다보더니, 온 신경을 집중시켜 검술 동작 하나하나를 취해 보았다. 그리고 소리를 내지는 않았지만 창백한 입술로 그 동작하나하나에 번호를 매겨가고 있었다. 그는 쉬지 않고 이 모든 동작들을 차례대로 정확하게 반복하고 또 반복했따. 그리고 완전히 자기 자신에 몰두한채, 주변의 모든 것은 잊어버린 채 오로지 그 동작들을 머릿속에 새겨 넣기 위해 애썼다. 절대적 정교함과 수학적 정확함으로 서로 연결될 수 바께 없는 이 모든 동작들의 단계단계를 직접 실행에 옮겨 보았다. 그는 마침내 인강늬 머리로 생각해 밸 수 있는 가장 완벽한 공격법을 터득한 것이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