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존 케네스 갤브레이스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일반적인 교육 수준이 대중들 - 액네일-레러 쇼를 보거나 <뉴요커>지를 읽는 대중들-은 갤브레이스르 ㄹ중요한 경제 사상가로 생각한다. 그러나 갤브레이스는 하버드이 경제학 교수이기는 하지만, 학계 동료들은 그를 "메스컨 명사(media personality0" 정도로 여셔서 한 번도 그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한 적이 없다. 대중과 교수들의 인식차이가 특히 크게 벌어진 것은 1967년 갤브세이스가 <새로운 산업 국가>에서 경제학에 관한 그의 사상을 장대하게 전개하였을 때였다. 그는 이 책이 J.M.케인즈의 <일반 이론>이나, 나아가 애덤 스미스의 <국부론> 과 같은 반열에 올려지기를 바했다. 이 책에 대해 대중 언론에서는 경쟁적으로 서평을 실었으나,학계는 냉담하였다. 학자들이 생각하기에 갤브레이스의 책은 진정한 경제 이론이 아니었던 것이다.(p.29)

경제 후퇴란 현상은 금세기 초의 많은 경제학자들을 골치 아프게 했고, 그렇다보니 필경 그들 중 대다수가 최악의 저작을 내놓게 되고 말았다. 톨스타인 베블렌은 경제 불황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설명해보려고 탁월한 <유한계급론>에서 아주 끔찍한 책 - <기술자와 가격 체제>-까지 쓰게되었다. 자본주의 성장에 내제괸 "창조적 파괴"라는 장대한 전망을 제시하여 많은 경제학자들을 끊임없이 고무하였던 슘페터는 <경기 순환론>이란 과장되고 거의 무의미한 두권짜리 연구서를 썼다.(pp.44-45) 

경제학의 향연 / 폴 크루그먼 

 
   

 폴 크루그먼 이니까 이렇게 쓸 수 있는건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