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화원 1
이정명 지음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김홍도와 신윤복은 모두 나와는 전.혀. 진하지 않은 사람들이다. 고갱이나 고흐를 화가라고 부를 줄은 알지만 그들을 화가라고 부르는 사실에 어색함을 느끼면서 이제서야 그들을 화원이라 부른다. 그리보보면 최근에는 인기있던 베스트셀러의 영화나 드라마화가 더 이상 낮설지 않다. 책을 읽으면서 마음껏 상상했던 주인공과 화면과 공간이 영상으로 옮겨지는 모습을 사실 실망이 더 큰 법이다. 내가 상상했던 주인공을 만족시키는 주인공이 드물 뿐더러 내가 상상하던 모습과 모든 면에서 일치하던 모습을 찾기는 힘들기 때문이다. <바람의 화원>도 책과 드라마가 그런 미묘한 관계이다. 

바람의 화원, 소재 선택의 탁월함
<바람의 화원>은 사람을 끌어 당기는 소설이다. 지금까지 어느 누구도 김홍도에 대해서 신윤복에 대해서 말해준 사람은 없었다. 중고교 미술책에서 그토록 매번 만나던 김홍도였지만 그의 그림이 가지는 미묘함을 말해준 이는 없었고, 신윤복의 그림이 가지는 화사함을 이야기한 이도 없었다. 그들의 그림에 대해서는 그저 극과 극의 스타일을 가진 화가로만 알았을 뿐 무엇이 그들의 그림을 빛나게 하는지를 알려주지 않았다. 


사실 <바람의 화원>에서 최고의 강점은 바로 소재, 그 자체이다. 소설의 구성이나 다른 이야기는 둘째치고, 소재 자체가 너무나 참신하고 읽고 싶게 만든다. 즉 그들은 지금까지 너무나 많이 들었지만 이해할 수 없었고, 이해하고 싶지도 않았던 이들이다. 고루하다고 생각했고, 서양화가들에 비해 너무나 지루하고 재미없다고 여거지던 사람들이다. 그들의 그림에 공간이나 색이 있을 것이라 누가 생각했단 말인가. 그런데 그들의 이야기를 이정명은 하고 있는 것이다. 이정명의 이야기에서 글의 투박함이나 다른 문제들은 어쩌면 읽는 독자 입장에서는 지극히 부차적인 요소이고, 베스트셀러가 된 이유는 바로 소재이다. 요컨데 소설에 가장 충실한 글을 써내놓은 것이다. 읽고 싶은 글, 읽기 전에 궁금하게 만드는 글을 말이다. 


물론 이런 소재에서 빛을 보고 있지만 <바람의 화원>에는 조금 미묘한 면도 있다. 소설의 중심축이 되는 내용이 정확하게 김홍도와 신윤복이라는 인물인지, 아니면 그들이 파해지는 사도세자의 그림인지 정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1권에서는 주로 두 화원의 이야기를 2권에서는 사도세자의 그림을 둘러싼 정치권의 암투와 그것을 찾아가는 두 화원의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기는 하다. 하지만 소설이 두 화원 중심으로 그들의 그림 이야기가 주를 이루던 1권에서 급하게 2권으로 넘어가면서 다소 서걱거리는 감이 없지 않다. 


하지만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그토록 많은 사람들에게 읽힌 이유를,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보고 있는 드라마화 된 이유를 알 수 있을 듯 했다.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고, 누구가 이야기 하기 전까지는 궁금해 하지도 않았던 그들의 이야기가 들렸던 것 뿐이다. 시작은 분명 그러했다. 그들의 이야기가 흥미로웠고 신윤복이 여자라는 설정이 그리고 그를 제자로 삼고 있는 김홍도의 내밀한 마음이 궁금했을 뿐이다. 하지만 이야기에는 그런 호기심으로 읽을 수 있는 그 이상의 무엇이 분명 있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마도 조금은 투박한 글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그 서걱거림을 느끼면서도 골몰하며 사람들이 읽었는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