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라시네 - 르 클레지오, 영화를 꿈꾸다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이수원 옮김 / 글빛(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오노 나나미는 <나의 인생은 영화관에서 시작되었다>라는 책에서 영화에 대한 각별한 애정을 드러냈다. 제목이 인생이 영화관에서 시작되었다라고 말을 하니 지극히 문학적이다 싶어 조금은 그녀와 어울리지 않기도 한다. 하지만 일견 이해가 되는 것이 글은 기본적으로 이야기라는 관점에서 보자면 역사를 이야기로 술술 풀어내는 그녀의 능력은 기본적으로 영화를 좋아하는 면과도 상통하는 듯 하다. 

2008년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는 프랑스의 르 클레지오이다. <조서>를 유일하게 아는 작품이지만 - 읽지도 않았지만 - 그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이 아는 것이 없다. 노벨상 수상 작가들은 수상 이후 많은 책이 동시 발간되는 것이 출판계의 통설처럼 되어 있는 듯 하다. <발라시네>는 이대 출판부에서 내놓은 책인데, 참 시간이 이리 딱 맞는게 재미나다. 아마도 소설과 같이 연결고리가 있는 글이 아니라 간단간단한 에세이 모음집이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발라시네>는 칸 영화제 60주년 기념으로 르 클레지오가 쓴 에세이 모음집으로 오랜된 영화 이야기가 한 가득이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칸 영화제 60주년 기념인만큼 에세이 속 영화들은 다양한 시대를 걸쳐가며 이야기한다. 영화와 책과 자신의 관계를 이야기하는 장에서는 이창동과 박찬욱과 같은 감독도 언급하지만 저 오래전 무성영화 시절까지 이야기가 거슬러 올라 가기도 한다. 무성영화를 넘어 때로는 영화의 태초로 올라가기도 한다. 르 클레지오의 영화 이야기는 영화 에세이라기 보다는 오래된 영화 이야기를 먼지를 털어 보여주는 그런 기분이 든다. 오랜 앨범을 꺼내고 오랜 필름을 꺼내서 먼지를 툭툭 털고 불어가며 이야기를 하나씩 찾는 그런 기분 말이다. 

하지만 빈말이라도 <발라시네>가 재미있다고는 할 수 없다. 재미있다고 하기에 이 에세이에 등장하는 영화들은 나와는 너무나 먼 이야기이다. 나같은 일반인에게는 단순한 영화 에세이라고 호기심에 열어봤다가는 실망하면서 닫을지도 모르는 이야기들이다. 하지만 한 영화를 골라서 이야기하는 장에서는 그가 하는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그 영화를 구해서 보고 싶은 생각이 들고, 영화 외적인 단상을 이야기할 때는 어느 장에서는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재미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먼지를 후후 불어가며 혹은 탈탈 털어가며 오래전 이야기를 읽는 그런 기분을 느끼고 싶다면, 그리고 영화가 너무나 좋은 사람에게는 나쁘지 않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