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추는 죽음 1
진중권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05년 3월
평점 :
품절



사람들마다 신뢰를 가지는 글쟁이들이 하나쯤은 있게 마련이다. 책 내용도 모르고 이름도 모르고, 알고 있는 것이라고는 오로지 '그'가 신간을 출간했다는 사실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야기만 듣고 나면 서점으로 가서 책을 확인하거나 혹은 주문을 하게 된다. 도대체 그에 대한 신뢰는 어디에서 나오는 것이며, 그 신뢰의 원천은 무엇이란 말인가. 알다가도 모를 일이고, 참으로 오묘한 일이다. 뜬금없이 이런 이야기냐하면 적어도 진중권이 미학에 관해서만큼은 아니 솔직히 말하면 미학을 넘어서 사회에 관한 이야기에 이르기까지 나에게는 '그'이기 때문이다.


진중권의 <춤추는 죽음>은 죽음이라는 주제가 각 시대 그림 속에서 어떻게 관통하고 있는지, 그 시대 사람들은 죽음을 어떻게 생각했는지를 보여주는 미학서이다. 미학서라고 하지만 내게는 각 시대의 죽음을 이야기하는 철학서와 미술서에 가까운 느낌이다. 1권에서는 그림을 읽는 도상학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을 해서 그림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서 이야기한다. 멀고도 어려운 그림이 아닌 도상학을 공부하면서 함꼐 읽어가는 그림 말이다. 


1부에서는 3부분으로 책이 구성되어 있다.  중세 초에서 중반까지 공동체의 개념이 극도로 강조된 '우리의 죽음'에서는 종교가 세상을 지배되었던 중세 전성기까지의 시대가 반영된 죽음이다. 종교가 강조되고 모든 삶의 중심이었던 시절, 공동체에서 맞는 죽음이 가장 편안하고, 죽음은 사후를 위한 단계일 뿐이라 생각했던 중세인들의 생사관을 옅볼 수 있다.  이후 르네상스까지 르네상스의 흐름을 타고 우리보다 개인이 보다 강조되기 시작하면서 좀 더 죽음이 개인화되면서 승화된 죽음에서 벗어나는 '나의 죽음'이 등장하면서 죽음은 점차 그곳으로 가기 위해 거쳐야 할 과정이 아니게 된다.  즉 죽음에 대한 공포가 시작되게 된다. 이후 르네상스 시대에 들어서면서 죽음은 더욱 공포스럽고 멀어지고 싶은 대상이되지만 한 편으로는 생의 정 반대편에서 항상 생과 함께 갈 수 밖에 없는 '메멘토 모리'로 상징되는 '멀고도 가까운 죽음' 으로 이어지게 된다. 


인문사회학이 대중과 만나기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은 글쓰기 과정이다. 기본적으로 전달자의 필력에 의해 그 대중화가 상당부분 좌우된다는 점을 부정할 수 없다.  바로 이 점이 진중권이 그의 학문적인 성과를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이유이다. 그를 학계에서는 어떻게 평가하는지 모르겠으나 그는 적어도 화두고 등장하고 있는 '인문학의 대중화'의 선두주자이다. 그의 글을 사람들이 읽는 이유는 학문을 기초로 하되 그 내용을 아주 어렵고 방대하게 설명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지극히 대중의 눈으로 보아서 내용을 서술한다는 점이다. 죽음을 통해, 죽음이 투사된 그림을 통해 시대를 읽어내는 그의 작업이 <춤추는 죽음>의 의미이다. 


더불어 이 책은 이미 오래전에 나온 책인데, 문고본으로 새롭게 출간된 책이다. 문고본을 환영하는 한 독자로써 문고본을 출간하기로 한 작가와 출판사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이렇게 좋은 책을 문고본으로 만날 수 있다니 얼마나 행운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