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
카트린느 벨르 지음, 허지은 옮김 / 작가정신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단 음식은 좋아하지 않지만 난 단 음식이 주는 효과를 믿는다. 분명 초콜릿과 사탕에는 화학적 성분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한 그 이상의 무엇이 있다고 생각한다. 다른 이들도 비슷하게 생각하는지 초콜렛과 사탕 등 단 먹거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남다르다. 초콜릿이 등장하는 영화도 상당한걸 보면 가히 먹거리와 관련해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힘은 먹거리 중에 최고가 아닐까싶다. 그만큼 초콜릿은 사람들의 삶과 많은 이야기를 함께 한다는 반증이다. 


황당하지만 재미난 스토리, 심심할 틈이 없다
소설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은 전설의 초콜릿을 만들 수 있는 카카오 열매를 보장받기 위한 두 수녀의 고된 여행기이다. 사실 고된 여행기이면서 평생에 잊을 수 없는 여행이다. 프랑스에 한 수녀원은 전설의 초콜릿이 그들의 주요 생계원이다. 이 초콜릿을 만들 수 있는 원료인 카카오를 구해야 하는데, 이 카카오는 콜롬비아에서 그녀들과 오랜 약속을 통해 공급해주는 이들만이 줄 수 있다. 문제는 이 카카오 공급 약속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10년에 한번씩 직접 카카오 경매장으로 수녀가 가야 한다는 사실인데, 올해 가지 못하면 앞으로 카카오는 얻을 수 없다. 카카오 경매장까지 가야하는 단순하면서도 어려운 이 과제가 안느와 자스민 두 수녀에게 내려진 과제이다. 물론 당연하지만 이들의 여행은 방해자가 한 둘이 아니다. 이들의 카카오를 강탈하기 위해 거대 기업은 물론이고, 콜롬비아의 무장단체까지 등장하고, 이들을 노리는 어둠이 손길도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덕분에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은 절대 읽는 내내 심심할 틈이 없다.


이 책에서 수녀들은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수녀들과는 조금 많이 다르다. 사실 그 때문에 이 책이 재미있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수녀는 영화 <시스터 액트>에 등자하는 그녀들과 매우 흡사하다. 전혀 뜻하지 않게 바깥 세상과 조우하게 된 그녀들이 만들어내는 좌충우돌 사건들과 한없는 낙관론이 이 책에서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다. 가령, 정글 속을 해맨다던지, 게릴라에게 잡혀서 죽을 뻔한 고비를 넘긴다던지, 길 잃은 산 속에서 폭발 직전의 남자들 앞에서 공연을 해야한다던지 - 놀랍게도 이들은 멋지게 해낸다는 설정이다 - 우연히 만나는 신부님과 얽히는 이야이 등등 하나같이 재미나고 조금은 기막힌 사건들이다. 바로 이 엉뚱함과 황당함이 소설에서 가장 큰 매력이다.


초콜릿을 향한 많은 이들의 욕망이 녹아 있는 소설 <초콜릿을 만드는 여인들>. 이 책은 전설의 카카오를 찾으려고 하는 수녀들의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여행을 그리고 있다. 갖가지 사건을 겪고 사람들을 만나면서 수녀들이 얻은 것은 과연 무엇일까. 각자가 신의 뜻을 각자 다양한 방법으로 발견하는 것으로 이야기는 끝이 난다. 속도감있는 중반부에 비해서 종반이 약간 허망하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허탈하게 끝나는 것이 단점이지만 이야기 자체는 정신없이 재미나게 읽었다. 하지만 다소 허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그 안에 고민이 별반 없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좌충우돌 수녀들의 세상 나들이가 끝나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은 "그래서 뭐?"라는 의문형이니 말이다. 여러모로 아쉬운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