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말라야 도서관 - 세계 오지에 3천 개의 도서관, 백만 권의 희망을 전한 한 사나이 이야기
존 우드 지음, 이명혜 옮김 / 세종(세종서적)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 시절 우리 집은 그다지 책이 풍족하지 않았다. 그 흔한 백과사전 전집류도 없었으니 그다지 많은 책을 가지고 있지는 않았다. 하지만 난 운이 좋게도 책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정확하게는 친구지만) 주변에 있어서 책에 목말라 해본 적은 없다. 학생 시절에는  다행하게도 학교 도서관 덕분에 꽤 팍팍하지 않은 시절을 보낼 수 있었다. 그래서 그런지 난 어렸을 때 책이 없어서 읽을 수 없다는 말은 생각하지 않았다. <히말라야 도서관>은 그래서 나에게 각별하다.

 

<히말라야 도서관>은 희망을 말하는 책이다. 이 책은 마이크로소프트에 재직하던 한 사람이 세상을 바꿔나가는 이야기이다. 휴가지로 네팔에서 희말라야 등반을 꿈꾸며 여행을 하던 주인공은 우연한 기회에 네팔 아이들의 교육 현실을 알게 된다. 주인공은 그 아이들의 현실을 바꿔나갈 꿈을 꾸게 된다. 바로 도서관을 짓고 그 도서관에 책을 채워나감으로써 말이다. 물론 그도 처음부터 이 일을 자신의 본업으로 생각하지 않는다. 그는 한 초등학교를 지원하는 일을 지인들의 도움으로 아주 작게 시작하지만 점차 그 아이들을 위해서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자신이 원하는 일이 무엇인지를 고민한다. 모든 것을 가지고 화려하게 사는 삶을 버리고 - 그는 직장인 마이크로소프트의 임원직을 그만둔다 - 아이들에게 책을 보내고 도서관을 짓는 일을 선택했다.

 

이 책이 그렇고 그런 NGO회장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이 책은 존 우드가 꿈꾸는 아이들이 책을 읽을 수 있는 교육 받을 수 있는 곳을 만들기 위한 방법과 과정을 보여주는 책이다. 존 우드는 책에서 한 조직을 만들어서 조직을 굴리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는 미국 본부에서 일을 하지만 그가 일을 벌이는 나라는 주로 동남아 국가인 네팔, 인도, 베트남과 같은 국가들이다. 그는 이 지역에서 도서관을 만들기 위해 자신과 꿈과 비전을 공유하고 그 지역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에게 일을 맡긴다. 실제로 그는 책에서 자신이 조직을 운영하는 방식을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배웠다고 말하고 있는데 조직을 운영하는 위치에 있는 사람이라면 새겨들을만 하다. 현대는 꿈으로 충분하지 않다. 꿈을 실현시키는 방법을 알아야 한다.

 

<히말라야 도서관>은 희망을 말한다. 한 사람이 마음 먹은 일에서 퍼져나간 마음이 다른 사람을 감동시키고, 그들의 감동이 그들의 손을 움직이게 만들어 세상을 바꿔나갔다. 더욱 놀라운 점은 그 힘이 지금도 유효하다는 것이고, 그 힘과 희망이 있기 때문에 아직도 어딘가에서 아이들은 자라고 있다는 것이다. 희망을 원하는 자에게 이 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