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는 진보다
박민영 지음 / 포럼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집에 <소학>이 한권 있다. 한자 공부를 하면 좋을 것 같기도 하고, 그렇다고 천자문을 외우자니 무작정 외우기는 못 할 것 같고 해서 한권 들였는데, 아직까지도 제대로 읽지 못했다. 그런 내가 갑자기 손에 든 책이 <논어는 진보다>. 얼마간의 확신을 담아 이야기하거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논어가 어떤 내용인지도, 그 안에 어떤 내용이 있는지도 모를거다. 요켠데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와 같은 도발적인 책들이 하는 이야기는 알지만 정말 그 공자가 하는 이야기는 제대로 모르고 있을 거다. 나처럼.
<논어는 진보다>는 꽤 재미난 책이다. 구성은 아주 간단해서 논어에 한 구절을 원전에서 인용하고 그 원전에 대한 기존의 해설을 살포시 이야기해주고 나서 본인의 해설을 이야기한다. 특히 재미있는 점은 논어를 이해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책을 이해하기 위한 필수적인 시대 상황들을 몇가지 설명해 준다는 점이다. 물론 그 시대 상황에 대한 설명이 더 재미난건 두말할 필요도 없다.
사실 이 책이 정말 진보적인 해석인지 조금은 도발적인 해석인지를 알길이 내게는 없다. 나는 논어를 어떻게 지금까지 해석하고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으니 말이다. 공자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이라고는 공교육의 힘으로 인(仁)을 강조했다는 사실과 동양 문화권이라 부를 수 있는 유교 문화를 만들어 냈다는 점 정도이다. (정확하게는 성리학이라 해야할까?) 그래서 이 책을 가타부타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내게는 없다. 하지만 이 책은 재미있다. 유교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생각들 - 충과 효를 빼면 시체라던가, 인만 이야기할 줄 모르는 이상주의자라던가, 유교가 가지고 있는 보수적인 고리타분함 - 을 충분히 걷어낼 수 있는 책이라 생각한다.
'충忠'은 '중中'과 '심心'으로 파자破字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 마음의 중심을 바로잡는 것을 의미했다. 마음의 중심을 잡는 것은 외부를 향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내부를 향한 것이다. 충忠은 자신의 속이 정신적인 힘으로 꽉 차 있는 것을 말한다. 공자는 충忠을 '인仁을 기준으로 하여 마음의 중심을 바로잡는다'는 개념으로 사용했다. 즉 충은 외부에 있는 어떤 것에 충실한 것이 아니라 인을 향한 자신의 마음에 충실한 것을 의미한다. 한마디로 외부에 충실한 것이 아니라 자신에게 충실한 것이다. 공자는 이 단편에서만 충忠을 '자신에게 충실하다'는 의미로 쓴 것이 아니었다. (p.79)
서양에서 문학이나 철학은 그리스 철학의 재해석에 지나지 않는다는 말을 어느 책에선가 읽었다. 그 말을 해석하고 그 해석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내놓는 과정을 통해서 그 시대에 맞는 새로운 이야기를 끊임없이 풀어내고 있는 것이다. 어찌보면 책 <논어는 진보다>에서 이야기하는 것도 그 점이다. 논어는 공자의 언행을 그의 사후에 제자들이 묶어서 만든 책이다. 그의 전 생애를 조망해서 그가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인(仁)에 대한 고민을 가지고 그의 논어를 새롭게 이 시대에 맞도록 해석하는 작업이 이 시대에는 필요하다. 지금 우리에게는 2000년대에 맞는 공자와 논어가 필요하다. 이 책은 그 점을 분명히 말한다. 참고로, 이 책에서 가장 흥미로운건 작가가 직접 쓴 서문이다. 하긴, 그 책을 알고 싶다면 서문을 읽어보는게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