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탕달의 연애론 - 새롭게 쓰는
스탕달 지음, 권지현 옮김 / 삼성출판사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문학은 아니 예술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그대로 투영한다. 중세시대, 빅토리아 시대, 혹은 조선시대, 지금까지 그 시기마다 '사랑'은 살아 있었으며 재미있게도 사랑의 풍경은 그 시대를 재미있게 조망하곤 한다. 중세시대 기사와 귀부인의 사랑이 제인 오스틴의 그것과 조선시대 양반내의 그것과 지금 우리의 사랑은 절대 같지 않다. 물론 본질적인 면에서는 같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같으면서도 다른것, 그래서 그 시기를 잘 투영하는 것으로 사랑과 연애만한 것이 꽤 드문것 또한 사실이다.


스탕달, 그가 남녀 혹은 연애에 관해 말한다.
스탕달이라 하면 <파르마의 수도원>을 꽤나 재미있게 읽어서인지 그의 연애론이 있다는 사실에 꽤 흥미를 느꼈다. <스탕달의 연애론>에서는 사랑의 시작부터 해서 어떤 과정으로 사랑이 만들어지고 유지되는지, 그 사이에 겪는 남녀의 심리문제는 어떤 것이 있는지를 꽤나 재미있게 써놓았다. <스탕달의 연애론>은 연애를 하는 과정과 심리 상태에 관한 글이면서도 동시에 그 시대를 읽을 수 있는 글이기도 하다. 아까도 이야기한 것처럼 사랑은 혹은 연애는 그 당사자들과 함께 그 시대를 보여주는 하나의 잣대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사랑이 현재형이든 과거형이든 책을 읽으며서 고개를 끄덕이는 부분이 적지 않을 것이다. 연애론에는 비교적 남녀의 심리에 관한 부분에서는 고개를 끄덕이면서 밑줄을 긋게 되는 부분도 한 둘이 아니었다. 사랑이 어떻게 결정작용을 거치게 되는지, 사랑에 가장 큰 장애물이라는 자존심과 질투에 관한 부분도 꽤나 재미있게 읽은 부분이다. 물론 남녀가 비록 그것이 모두에게 적용되는지는 알 수 없으나 비교적 내 기준에서는 신빙성이 있는 이야기로 생각되는 부분이 꽤 많다.


외모는 사랑을 시작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다. 남자가 어떤 못생긴 여자를 만나서 깜짝 놀랐다. 하지만 여자의 성격이 좋다면 남자는 곧 여자의 외모상 결점을 지워버릴 수 있다. 남자는 여자가  사랑스럽다고 생가할 것이고, 이런 여자를 사랑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p.98)

자연스러움이란 이처럼 사랑을 통해 행복을 느끼는 필수 조건이다. 그렇다고 해서 어떻게 하면 자연스러울까 걱정할 것도 없다. 자연스러움이란 그저 평상시대로 행동하면 된다는 뜻이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거짓말을 해서도, 멋지게 진실을 변질시켜서도 안 된다. 멋지게 보이려 하면 그렇게 꾸미는 데 정신이 팔려 오히려 일을 망치기 일쑤다. 그렇게 되면 정신은 마치 피아노 건반처럼 눈빛으로 드러나는 감정에 더 이상 솔직하게 반응하지 않게 된다.(p.190)


하지만 사랑에 대한 이야기가 비교적 쉽게 읽을 수 있기도 하지만 내용 부분적으로는 동의할 수 없는 이야기도 있다. 아마 이 부분에서 그 당시의 사회상을 읽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여성에 대한 부분에서 그 당시의 사회를 매우 쉽게 읽을 수 있다. 물론 스탕달의 경우에는 여성의 교육에 열린 자세를 피력하며 다소 다른 자세를 취하는 듯이 보이지만 그도 부분부분 여성과 사랑이 연결되는 부분에서는 오늘날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시대의 변화가 느껴지는 부분이다. 결국 사랑에 대한 이야기, 남녀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도 여성에 대한 당시 사회의 시선까지 읽을 수 있는 그런 책이다.

남자와 여자는 사랑에 거는 기대가 다른만큼, 사랑이 싹트는 이유도 다를 수 밖에 없다. 남자는 공격적이고 능동적이면 여자는 방어적이고 수동적이다. 남자는 언제나 요구하는 쪽에 가깝고 여자는 거절하는 쪽에 서게 된다. 또 남자는 용감하게 나아가고 여자는 수줍게 물러서는 것이 사랑이다.(p.63)


'새롭게 쓰는' 스탕달?
이 책은 <스탕달의 연애론> 앞에 '새롭게 쓰는'이라는 작은 글귀가 덧붙여져 있다. 이 글은 자칫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 쉽다. 아마도 이 책은 스탕달의 <연애론>을 번역한 글로 보여지고, 스탕달의 연애론을 인용해서 새롭게 쓴 글이 아니란 말이다. 새롭게 쓰는 스탕달이라고 하기는 했지만 오해려 혼란만 더 가중시킬 뿐이다. 아마 고전을 현대에 다시 읽는다는 느낌을 살리기 위한 글귀 같지만 오히려 어디까지가 스탕달의 글인지 알쏭달쏭하게 하는 것 때문에 꽤 신경이 쓰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