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6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격정적으로 살았고 시종일관 유쾌하던 카이사르가 등장한 시대를 지나 그의 양자이자 제정을 연 아우구스투스의 시대가 <로마인 이야기 6 : 팍스 로마나> 의 내용이다. 4,5권에서는 너무 비대해져 로마가 기존에 공화정으로는 효율적인 통치가 불가능한 것을 감지한 카이사르가 원수정을 제국에 도입하기 위한 정치적 투쟁과정에 초점이 맞춰졌다. 카이사르의 선견지명은 맞았는지, 6권 <로마인 이야기 : 팍스 로마나> 에서 그의 양자로 들어간 아우구스투스는 카이사르의 유지를 받들어 그의 시대를 '팍스 로마나'로 만들며 화려한 제정시대를 열게 된다.


카이사르 VS 아우구스투스, 시대가 다른 인물을 원했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를 비교하지 않는다는건 말이 안된다. 이 둘만큼 이나 비슷하면서도 다른 사람도 드물기 때문이다. 천재라는 이름으로 불린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는 꽤 많은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둘다 선견지명이 있었다는 점, 시대가 무엇을 원하는지를 제대로 파악하고 있었다는 것을 말이다. 카이사르는 모든 이들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일을 시도해야 하는 혁명가에 가까웠다면, 아우구스투스는 혁명이 진행되고 난 후 새로운 틀을 짜는 요컨데 재건축을 담당한 것이다.


물론 둘은 차이점이 꽤나 많지만 사실 둘의 차이는 단순히 인간의 차이가 아니라 시대가 요구하는 것이 두 사람에게 달랐다는 것에서 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시대의 변곡점을 돌아야 하는 카이사르와 변곡점을 지난 제국에 대한 그림을 그려나가는 둘은 엄연히 다른 능력이 요구되었다. 카이사르는 다른 어떤 능력보다 군사적 능력과 사람을 다룰 줄 아는 능력이 기막혔다. 이와는 조금 다르게 아우구스투스는 제도를 정비하고 시대가 숨고르기를 하고 더 나아가는데 필요한 것을 채워넣을 줄 아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이 정도가 되면 저자의 말대로 리스트럭쳐(restructure)의 달인이다.


시대가 영웅을 만드는걸까, 영웅이 시대를 만드는걸까

시오노 나나미는 카이사르에게 능력으로 발탁된 아우구스투스가 유독 혈연에 칩작하는 모습이 모순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곰곰히 아우구스투스의 삶을 들어보면 그는 카이사르에게 발탁이 되었고, 카이사르의 이름을 평생 자신의 이름 앞에 달고 살았고 또한 살아야만 했다. 자신의 아버지의 혹은 선조의 이름이 통치에 얼마나 도움이 되며 자신을 자괴감에 빠지게 하는지 또한 분명히 알고 있었을 것이다. 아마도 나는 그가 장점을 분명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유독 혈연을 강조한 것이 아닌가 싶지만, 그럼에도 시오노 나나미의 말처럼 혈연에 대한 그의 집착은 과한 면이 적지 않았던건 분명하다.


또한 6권을 읽으면서 제정에 대한 정의도 새롭게 했는데, 제정이란 황제 혹은 일인자가 통치하는 방식을 지칭하는 말이기 때문에 그 권력이 세습되는지와는 사실 관련이 없다. 지금까지 제정이이라는 통치 방식을 권력이 세습되는 정치를 지칭한다고 생각했던 나로서는 꽤 큰 놀라운 점이었다. 그런데, 왕정은 임금이 통치하는 방식이고, 제정은 황제가 통치하는 방식이면 둘은 단순히 통치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것인가? 왕정과 제정에 대해 좀 더 분명한 정의를 알아봐야할 필요성을 느낀다. 


아우구스투스를 보면서 드는 생각이지만 시대가 영웅을 만드는지, 영웅이 시대를 만드는지를 다시 한번 고민하게 한다. 시대가 혼란할수록 영웅이 등장한 것을 보면 시대가 영웅을 만든다는 말에 동의하고 싶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영웅이 시대를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시대가 카이사르 같은 변곡점에 맞는 인물을 원했던 것이고, 시대가 아우구스투스 같은 조직을 정비할 수 있는 인물을 원했던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하지만 그들이었기 때문에 시대를 제대로 읽어낼 수 있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꽤 오래했다.


다음은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는 <로마인 이야기 7 : 악명높은 황제들> 이다. 얄궂게도 혈연을 통해 황제 자리를 물려주려고 한 아우구스투스는 지하에서 후회 막심 할 일이지만, 그의 혈연을 따라간 후손들이 어떻게 로마를 통치했는지를 따라갈 수 있는 꽤나 재미있는 책이니 기대된다. 그리고 항상 어느 정치나 틀을 잡은 초장기를 지나면 위기가 오곤 하니 그것 또한 재미있는 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