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 2
한승원 지음 / 열림원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처음으로 추사를 만난건 국사 교과서였다. 그는 금석학의 대가이자 명필로 소개되었고, 나는 그를 그 이상으로도 이하로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가 정치에 몸을 담았다는 것 자체를 이해할 수 없었고, 그는 별일없이 초야에서 무사하게 살다간 그런 사람인줄 알았다 이 말이다. 덕분에 그리 평범하게 살았을 것이라 생각한 덕분인지, 추사는 내게 별 무게감 없는 인물로 낙인 찍혀 관심 밖으로 밀려 나버렸다. 

그러다 <목민심서>라는 소설을 읽다가 추사를 아주 오랜만에 다시 만났다. 유배된 정약용과 초의스님은 스승과 제자 관계였고, 초의 스님과 추사는 벗이었다. 당시 젊은 추사는 정약용이 근처에 있다는 소식을 초의 스님에게 듣게 되고, 그를 졸라 몇일 동안 정약용을 만나게 된다. 당시 유배를 온 정약용을 만난다는 것 자체가 큰 모험일 수 있겠지만, 그는 그런 일에 개의치 않았다. 짧은 인연이었지만 정약용을 찾아간 그의 모습이 참 오래도록 남아 있었다. 아마도 그때 처음으로 난 추사를 금석학과 명필로만 기억하지 않은 것 같다. 

 
인간 추사를 만나다
한승원의 소설 <추사>는 추사 김정희의 지극히 너무나 인간적인 삶을 조명한다. 마치, 김훈이 <칼의 노래>에서 국사 교과서 속에 이순신이 아닌 너무나 인간적인 이순신을 다룬 것처럼, 한승원은 그렇게 추사를 그렸다. 어린 시절 자신의 집을 떠나 큰 아버지 댁에 양자로 가서 집안을 이어야 했던 소년 시절과, 북학파와 접하면서 학문에 눈을 뜨게 된 모습과, 큰 아버지의 죽음과 어머니의 죽음 이후 닥쳐온 개인적인 그리고 정치적인 시련으로 그의 인생은 그려진다. 

<추사>에서는 재미있는 것이 당시 정치적 상황과 추사 개인의 삶을 잘 배분해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정약용의 삶에서 귀향이라는 단어를 빼놓을 수 없는 것처럼, 추사의 삶에서도 귀향은 빼놓을 수 없는 것이다. 그 때문인지 <추사>에서는 귀향을 간 추사의 삶에 많은 공을 들인 것이 보인다. 또한 인상적인 그의 어린 시절과 청년 시절에는 그의 성장배경과 성격을 짐작할 수 있도록, 그리고 어쩌면 진정 추사의 입으로 듣는 것처럼 느껴지는 그의 이야기를 전한다. 다만, 그의 집안 사정으로 부인과 자녀에 대한 부분에서 역사적으로 정말 추사의 자녀는 어떻게 되는지 꽤 궁금하기도 했다.(아마 부인과 자녀에 대한 부분은 정확한 사실일 것으로 생각하지만) 
 
한승원의 소설 <추사>는 여러가지 면에서 읽어봄직하다. 이유로 첫째는 추사 김정희를 국사 책에서 끌어 내온 것이다. 둘째로는 작가의 견해가 많이 들어간 너무나 인간적인 추사 김정희에 흠뻑 젖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금석학의 대가로 명필가로 그를 서술하는 일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추사의 어린 시절부터 노년까지 짧지 않은 분량으로 훑어 내려가면서 때로는 당쟁에 휘말리고, 한 여인을 사랑했으며, 서얼인 자식을 진정으로 걱정하기도 했던 그의 너무나 인간적인 면을 한껏 느낄 수 있었다. 다만, 지나치게 짧게 각 장이 나뉘어져서 읽는 동안 흐름이 끊기는 문제가 있기는 했지만 그야 작가의 의도로 생각할 따름이다. 

 
오늘은 유독 날씨가 가을 같다. 바람이 너무 서늘해서 밖에 앉아 있으면 서늘하다 못해 추울 지경이다. 이런 가을로 접어는 시점에 너무나 인간의 냄새가 물씬 나는 추사를 만나게 되서 참 다행이었다. 특히나 이런 달이 뜨는 날에는 그가 더욱 생각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