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번가의 석양 - Always
야마모토 코우시 지음, 한성례 옮김 / 대산출판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난 분명 아날로그 적인 감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도 행복하지 않다거나 한건 아니지만 적어도 지금보다 어린 시절이 조금 더 재미있고 살만하지 않았나라고 가끔은 그렇게 생각한다. 그리고보면 아버지도 가끔 말씀하신다. 너희들이 어렸을 때가 아버지는 더 좋았던 것 같다고, 그때가 딱히 여유가 있는 것도 아니었지만 아버지도 젊어서 뭐든 할 수 있을 것 같았고 너희들이 커가는 재미가 있었다고. 물론 과거를 끊임없이 반추하고 돌아보는 것은 인간의 당연한 모습이겠지만, 정말 아주 가끔은 정말 그 때가 나쁘지 않았어라고 생각할만한 그런 시절이 존재한다. 

그 때, 그 시절을 기억하십니까.

<Always 3번가의 석양>은 1950년대 말 한창 도쿄타워를 짓는 일본을 배경으로 한다. 우리로 따지면 70년대 한창 경기를 일으킬 때이지 않을까 싶은데 그런 시기를 배경으로 했다는게 꽤 강하게 작용한다. 물론 나는 60,70년대를 살아보지는 않았지만 아버지와 어머니의 이야기, 그리고 지금까지 읽어본 수많은 작품들에서 느낄 수 있는 그런 '온기'를 느끼게 하는 그런 이야기들이 가득가득하다. 4월에 시작한 이야기는 다음해 3월로 이어져 12편의 한 마을 사람들 이야기로 끝이 난다. 짧막한 소설들 속에는 오해로 헤어진 남편을 찾아온 아내도 있고, 가난해서 우산 하나를 돌아가며 쓰는 가족도 있고, 사장과 직원이라는 관계보다 그야말로 가족이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사람들도 있다. 가난하지만 가족이 함께 살 수 있는 곳이 있어 행복한 사람들이다. 꿈을 잊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다시금 소록소록 꿈을 키우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이 소설은 그야말로 '그 때, 그 시절을 기억하십니까'라는 질문을 생각나게 하는 책이다. 어쩌면 사람들은 이미 과거가 지나가 버렸기 때문에 좋은 기억만을 가지고 있는지도 모른다. 가난이 너무 싫었고, 왜 가족들끼리 한꺼번에 끼어 자야 했는지 이해할 수 없던 그런 시절이 분명히 있었다. 하지만 아침도 함께 먹지 못하고 밤에 잠 자기 전에 한번 보는 가족 생활을 하고 있다면, 지그 이 시절이 꽤 아주 많이 그리울 것이다. 요컨데 이유는 하나다 그 시절이 체온과 온기를 나눌 수 있는 시절이었기 때문이다. 비록 지난 추억의 미화라고 부를지라도 말이다. 

<Always 3번가의 석양>은 기막히게도 들어가는 글이 이 책에서 말하고 싶은 점을 모두 이야기한다. 모든 과학을 하는 사람들의 고민 거리인, 과연 과학이 인류를 행복하게 해주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작가는 독자에게 묻는다. 과학이 발달하고 생활이 편리해졌지만, 정말 우리는 더 행복해진 것일까, 그 때보다 더 삶을 무료하게 보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 시대를 기억하는 어른들은 <Always 3번가의 석양>을 읽으며 아이에게 그 시절의 소소한 추억들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아날로그적 감성이라고 부를지도 모르지만 분명 그런 시절은 있었다. 그리고보면 사람 사는건 다 비슷한 것 같다. 일본이든 한국이든. 

 

이 이야기의 무대는 1958년 도쿄의 한 마을이다. 당시는 필터 달린 담배, 죽석 치킨 라면 등이 판매되었고, '역도산'이 국민적 영웅이었으며, 훌라후프가 대츄행을 하고, 도쿄타워가 완공되던, 미터법이 시행되었어도 척관법이 더 쉽게 느껴지던 그런 시대다.
에어컨이 일반화되지 않았지만 선풍기, 부채, 발, 풍경, 물뿌리개만으로도 충분히 여름 더위를 견딜 수 있었고, 겨울이면 가족들끼리 몸을 바짝 붙이고 자면서도 온도계 따위로는 측정할 수 없는 따스함을 느낄 수 있었다.
아버지들도 지금만큼 가혹한 시간 외 노동을 하지 않았고 가족과 함꼐 밥상에 둘러앉아 그날의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세탁기, 냉장고, 청소기와 같은 가전제품이 없어도 어머니들은 척척 가사를 해냈고, 피부관리실이나 피트니스 클럽에 다니지 않아도 체지방이 적고 건강한 몸을 유지했다. 솥으로 밥을 짓고 풍로에 생선을 굽고 아이들 바지를 기워 입히고 헌 옷으로 휴대용 봉지를 만드는 등의 일을 귀찮기는 해도 창조적이고 충실한 작업이었다.
아이들은 들판이나 강 같은 놀이터에도 만족했고, 체험을 통해 사회의 룰이나 싸움에 대처하는 요령 등을 배웠다. 풍부한 상상력으로 단순한 나뭇가지는 칼이나 총이 되고, 잡목림은 모험심을 돋우는 밀림이 되었으며, 혜옥은 도깨비 집으로 변신했다. 아버지에게 야단맞고 벽장이나 헛간에 갇혔을 대는 어머니가 몰래 주먹밥을 넣어 주기도 했다.
이웃들은 동네 아이들의 얼굴과 이름, 성격 등을 잘 알고 지켜봐 주었으며, 아이가 나쁜 짓을 하면 자신의 아이처럼 야단쳤다. 골목길은 부인들이 쑥덕공론을 벌이는 우물가 같은 장소였고, 목욕탕에서는 아버지들이 잡답을 나누었다. '먼 친척보다 가까운 이웃이 낫다'는 말이 정말로 실감나는 그런 시대였다.
현대의 우리는 정말 그 무렵보다 풍부하고 행복해진 것일까. (p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