댄 에이벌리의 [부의 감각]을 읽는 중이다. 몇일전에 책장정리를 소소하게 했는데 구석에 찌그려져 있던 책을 발견했다. 아마 저번 원서 읽기에서 읽었던 책 같은데 딱히 새로운 책을 주문하기도 귀찮고 한번 다시 읽어보자 라고 생각해서 읽기 시작했다. 많이는 못 읽고 하루에 대략 한 챕터씩 읽고 있다. 대략 2/3 정도를 읽었는데 나쁘지 않다. 사실은 꽤 좋다. 이 책을 저번에 뭐라고 읽었을지 모르겠는데, 왠걸 상당히 괜찮아서 꽤 마음에 든다. 원서를 읽는 재미까지는 모르겠지만 그냥 이 책이 꽤 괜찮은 책이라는건 알겠다. 특히 요즘은 돈을 어떻게 모아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어서 그런지 꽤 의미있게 읽힌다. (얼마전 개정판이 나왔던데 괜찮으면 한글버전도 읽어보고 싶다) 



알라딘에 9월부터 원서읽기그룹(?)이 생긴김에 책을 추천 받아서 읽을 책을 주문했다. 

사실 원서 읽기에서 가장 어려운건 적당한 책 고르기인지라, 책이 괜찮으면 8할은 해결이다. <The Story of the world>를 주문했고, 거기에 얹어서 내가 읽고 싶은 책도 함꼐 주문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일본원서를 영어로 옮긴 번역본인데( 나는 이 책을 한글로 물론 이미 읽었다) 생각해보니 이걸 굳이 영어번역으로 읽는게 뭐하는건가 싶었지만 그래도 뭐 이렇게 한권 더 읽어보는거지 싶다랄까. 



풍요로운 가을 책 읽기를 기대하며 총총.








댓글(0) 먼댓글(1)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9월 원서읽기는 순항중
    from 반짝이는 유리알 2023-09-08 13:01 
    얼마전 이야기가 나왔던 [The Story of the World]를 읽고 있는데 이런 생각중이다.사실 이 책에 대해서 찾아보지 않고 추천자를 믿고 읽기 시작했는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책이라는걸 이제 알았다.(아...) 내용을 많이 알고 있는 책을 원서로 읽는 일에 장점을 십분 누리고 있다. 기본적으로 내용에 걸리는게 없으니 원서로 읽는 일도 거침이 없다. 아마 이래서 내가 주로 경제책같으 논픽션을 원서로 읽는 것 같다. 간혹 등장하는 의문스러운 단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