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이 만든 공간 -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근무하는 회사는 51층에 자리잡고 있다. 집에서 지하철을 하고, 지하도 이동해, 건물에 드어와 근무를 한다. 땅 한번 제대로 밟기 힘든 날이 많다. 일하는 사무실은 층고는 높고 인구밀도도 높지 않아 시원시원한 편이다. 아주 가끔씩 일하다 말고, 건물 밖 풍경을 바라보거나 천장을 멍하니 바라보곤 한다. 이것에서 일하면서 창 밖을 보고 천장을 많이 보게 됐는데 이 책을 읽고 세삼 모든게 다르게 보인다.

유현준 교수의 신잔 [공간이 만든 공간]은 어디선가 들어본 이야기들이 많다. 그동안 책을 통해서, 강연과 tv를 통해서, 심지어 팟케스트를 통해서도 자신의 생각을 꾸준히 대중에게 전달한 그의 생각들이 집대성된 이야기 같다. 이 책에서는 기후가 문명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그 기후가 밀농사와 쌀농사로 투박하게 정주생활을 구분지었고, 이를 바탕으로 어떻게 양쪽 문화가 다르게 발달하게 되었는지 설명한다. 그를 좀 더 확장해서, 벽으로 공간을 만들어내는 서양과 기둥으로 공간을 만들어내는 동양 사이의 차이를 만들었는지를 이야기한다. 그렇게 19세기까지 각자 발달해온 두 공간은 지리가 발달하고 통신이 발달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게는다. 근대 이후, 서양은 동양의 공간 구성에서 해법을 찾아나갔으며 이제는 서로 다른 학문에서 건축의 해법을 찾아 나가가는 중이다. 급기야 21세기 신세기에 건축은 공간은 새로운 길을 제시하기 위한 해법을 찾는 중이다.

나는 이 책을 정말 재미나게 읽었다. 물론 저자의 전작품들과 다른 강연들 어딘가에서 들어본 이야기들이기는 하다. 하지만 그의 이야기는 각 매체들에서 단편적으로 다루어졌던 이야기들이었다. '알쓸신잡'을 통해 동양과 서양의 건축에 대한 하나의 사건 혹은 이벤트들에 대한 생각을 나누는 이야기나, 기후와 소위 주어진 조건을 어떻게 인간이 극복해왔는지 대한 이야기도 그렇다. 이번 책이 가장 추천할 만 한건, 그 모든 이야기들을 가장 체계적으로 집대성했기 때문이다. 동양과 서양이라는 다소 이분법 적인 시선이지만 적어도 19세기, 20세기의 건축까지 어떻게 공간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날줄과 씨줄을 촘촘히 엮어낸 책이다. 물론, 이 책에 나온 이야기를 다 받아들이느냐 마느냐는 독자의 몫이지다. 그러나 적어도 건축을 혹은 공간이라는 대상을 흐름을 가지고 조망할 수 있도록 나온 책이 있는 것만으로도 즐겁게 읽을 수 있다.

사실 이 책이 흥미로운 이유는 기후 혹은 자연적 제약이 어떻게 인간의 건축에 혹은 생각에 영향을 미쳤느냐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는 점이 하나이고 , 거기에서 부터 그들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그 부분을 극복하고자 방법을 찾았는지를 추적해서 보여준다는 점이 둘이다. 한 분야의 소위 '전문가'라고 하면 이렇게 자신의 시각으로 자신이 전공/전문으로 하는 분야를 관통할 수 있는 이런 식견을 가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아는 것과 생각을 글로 써서 출판하는건 또 다르다는 것 또한 충분히 이해한다. 그래서 이런 글을 만나면 얼마나 귀하게 느껴지는지 모르겠다. 누군가의 말대로 지금까지 나온 그의 책 중에 단연 최고작이다.


+ 하단은 유현준 교수가 녹음했던 오디오클립이다.

방송에서는 들을 수 없는 - 방송에서는 교수 유형준에 가까운 것 같다 - 건축가 유현준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굉장히 격한 방송도 있고, 본인의 생각을 명쾌하게 이야기하고, 약간 시니컬한(?) 면까지 있어서 깜짝깜작 놀라면서 들을 수 있다.

https://audioclip.naver.com/channels/12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