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봉학이가 꺽정이를 보고
"언니. 활이 재미납디다."
하고 빼앙대살로 나무쪽 과녁을 맞히어 보이니 꺽정이는
"한량 아우가 생겼구나."
하고 웃고 유복이는
"그러면 나는 한량 언니라고 할까?"
|
|
|
|
 |
1991년 11월 사계절출판사에서 펴낸 홍명희님의 '林巨正" 중에서..
요즘 재미있다고 동네방네 소문난 '추노'를 보면 남자들끼리 '언니' 라는 호칭으로 부른다.
오늘날 '언니'라 하면 나이가 차이나는 여자들끼리 부르는 호칭인데 그 옛날엔 그렇지 않았던 모양이다.
야후 백과사전에서 언니라는 말을 찾아보면
① ‘형’을 다정하게 부르는 말.
② 자매 사이에서, 자기보다 먼저 태어난 여형제를 부르는 말.
③ 여자들이 자기보다 나이가 조금 위인 여자를 높이어 정답게 부르는 말
이렇게 나와 있다.
추노를 보면서 옛날에 임꺽정을 읽을때 남자들끼리 언니라 부르던 기억이 나서 찾아봤다.
찾아보며 몇 군데 슬쩍 읽는데 지금은 쓰이지 않는 표현들이 또 재미있다.
 |
|
|
|
덕순의 안해 이씨의 친정에서 유명한 장님에게 덕순이 내외의 사주를 본 것이 있었는데, 내외가 백년해로하지만 자손궁이 부족하여 아들이 없으리라는 말이 있었다. 덕순이가 이씨에게 있는 사주 적은 것을 본 뒤에
"첩을 두어야겠다."
"아들을 못 낳으면 출처(黜妻)하는 수밖에 없다."
하고 이씨의 골을 지른 일이 한두 번이 아닌 터이었다. 그날 밤에 이씨가 베개 위에서
"여보세요, 주무세요?"
하고 덕순의 몸을 건드리니 이때껏 가만히 소리없이 누워 있던 덕순이가 갑자기 코를 드르렁드르렁 골았다. 이씨가 덕순의 몸을 흔들며
"아이구, 곤하게도 주무시네. 다 새었어요. 고만 일어나 나가시지요."
하고 소리를 죽이어 가며 웃었다. 자는 체하던 덕순이가
"닭도 울기 전에 날이 새어? 가짓말이 일쑤로구려."
하고 머리를 이씨에게로 가까이 옮기어 숨기운이 이씨의 얼굴에 끼치니 이씨가 성낸 목소리로
"가짓말이 다 무어요. 어떻게 그렇게 낮잡아 말하시오. 내가 당신더러 가짓말로 코를 곤다고 말이나 해보아. 당신은 화를 산같이 내실 것 아닌가."
하고 덕순을 등지고 돌아누웠다.
"게서가 성을 내신다면 이곳이 말씀을 잘못했소."
하는 덕순의 말에
"낮잡아 말하고 게다가 빈정거리기까지 하시는구려."
하고 다시 덕순을 향하여 돌아누웠다. 덕순이가 자는 체하듯이 이씨는 성내는 체한 것이라 풀 것도 없고 풀릴 것도 없었다.
|
|
|
|
 |
지금은 만나기 어려운 문장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