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부르는 숲
빌 브라이슨 지음, 홍은택 옮김 / 동아일보사 / 2002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책을 읽고 제일 먼저 드는 생각은 애팔래치아 종주를 하는 사람의 정치적 성향이 궁금하다는 것이다.
이들이 애팔래치아를 사랑하고 사랑하고 사랑하여 중독된 사람이라면,
애팔래치아를 지키기 위해 나라 일에 나서줬으면 좋겠다.

만약 향후 50년 동안 지구의 온도가 4도 상승한다면 뉴잉글랜드 이남에 있는 전 애팔래치아 산맥의 숲은 사바나로 바뀌게 된다. 이미 나무들은 놀라운 속도로 죽어 가고 있다. 참나무와 밤나무는 오래 전에 사라졌고 소나무도 사라지고 있으며 붉은전나무와 단풍나무 등도 그 뒤를 따를 조짐이다.

라고 늘어놓은 뒤에 지구온난화에 대한 경고가 따라가는 대신,
애팔래치아 산맥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경험하려면 지금이 적기라고 적는 작가가 난 못마땅하다.

미국이기 때문에 아름다움은 차를 몰고 가야 마주칠 수 있는 것이 돼 버렸고,
미국이기 때문에 자연은 양자택일적 제안-정복의 대상이냐, 신성시되는 곳이냐-이 돼 버렸고,
미국이기 때문에 자연 속에 들어가면 언제나 사람들에게 피살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면서,
애팔래치아 트레일 종주에 도전했던 것만으로 만족하는 건가.

재미난 책이라 별점을 3개 주었지만,
마지막 남은 위대한 자연을 보존해야 한다는 감동적인 호소라는 추천기에는 동의가 안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