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로니아 찬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6
조지 오웰 지음, 정영목 옮김 / 민음사 / 200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 오웰은 카탈로니아 찬가를 집필한 이유에 대해 "나는 왜 쓰는가"라는 에세이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코끼리를 쏘다' 또는 민음사의 '동물농장'에 수록되어 있다. 하기 인용문은 '코끼리를 쏘다'에서 옮긴 것임.)

스페인내전에 관한 소설 카탈로니아의 경우 나의 정치적인 견해를 피력한 책이지만, 대체로 공정한 시각화 형식을 염두에 두고 쓴 소설이다. 나는 이 소설에서 나의 문학적 본능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전반적인 진리를 말하려고 애썼다. 우선 이 소설에는 신문 기사 등에서 인용한 긴 장이 하나 있는데, 당시 프랑코와 공모했다고 비난받았던 트로츠키주의자들을 옹호하는 내용이다. (중략) 나는 영국사람들이 모르고 있었던 한 가지 사실을 알고 있었는데, 그것은 스페인에서 죄 없는 사람들이 이유 없이 투옥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만약 내가 이러한 사실에 대해 분노하지 않았더라면, 나는 결코 이 소설을 쓰지 않았을 것이다.

'신문 기사 등에서 인용한 긴 장' 때문에 조지 오엘은 '좋은 소설 한 권을 저널리즘으로 만들었다'는 비평가의 지적을 받는다. 그러나 반대로 나는 '긴 장', 즉 11장 덕분에 이 책에 대해 깊이 감사한다. 

솔직히 말해 난 문학 또는 영화, 그림, 사진의 소재로 다루어진 것 외에 스페인 내전을 잘 몰랐다. 하지만 근대사나 사회과학 서적을 뒤져봐도 뭐가 뭔지 알 수 없었던 스페인 내전에 관해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준 책이 바로 '카탈로니아 찬가'이다. 통일노동당(POUM)과 전국노동자연맹, 인민전선, 통일사회당과 노동자총연합 등 당 또는 단체의 이름만 들어서는 그 정치적 성향을 알아맞출 수도 없고, 그 이름이 그 이름같아 도무지 구별되지 않았던 스페인의 정치단체들을 비로소 구별할 수 있게 되었다. 내 자신의 정치적 성향과 별개로 통일노동자당에 대한 오웰의 옹호에 경도되었기 때문에 가능해진 것이다. 위대한 작가의 필력에 감탄하게 되는 대목이라 하겠다.

하지만 아직도 부르조아 파시즘 대 부르조아 민주주의, 맑스주의 대 트로츠키주의, 인민노선 대 프롤레탈리아독재, 스페인 민족주의 대 인터내셔널운동 등의 수많은 축과 그 합종연횡을 이해하기엔 역부족이다. '스페인 내전 연구'를 구해보고 싶지만, 찾기가 쉽지는 않을 듯 하다.

여기서 잠깐. 의용군에 입대하여 전선으로 떠나는 순간까지 다룬 제1장을 제외하면, 스페인 내전에 대한 주인공의 입장은 시종일관 냉소적이다. 권태로운 전선,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참한 전쟁, 분열과 모략, 바르셀로나 시가전 등을 서술하는 주인공은 한 걸음 떨어진 관찰자의 시선을 견지하려고 한다. 심지어 평생 목소리를 잃어버릴 수 있는 부상을 당하고도 열악한 의료환경보다 담배를 사기 힘들다는 것을 더 쉽게, 자주 빈정댄다. 하지만 통일노동당이 불법화되자, 주인공은 분노에 차게 된다. 조지 콥의 투옥과 보브 스마일리의 죽음에 대해 지나치게 법석을 떠는 게 아닌가 자문을 하면서도 격분한다.

아, 그렇다면 냉소와 분노로 일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제목은 '찬가'일 수 있는가. 혹자는 잃어버린 혁명에 대한 마지막 헌정이라고 하지만, 나로선 조지 오웰 특유의 장난으로 여겨진다. '동물농장'이나 '코끼리를 쏘다'에서 그의 풍자와 지독한 반어법을 이미 경험했기에, 순수한 찬가로는 도무지 여겨지지 않는다. 그 자신도 '분노' 때문에 썼다고 이미 토로하지 않았는가. 오웰다운 짖꿎음되겠다.

뱀다리) '바람의 그림자'의 페르민의 정치적 입장이 마냥 궁금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