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水巖 > 수암 갤러리 - 소장품展 4部

 



 

 

 

 

 

 

 

 

 

 

 

    阮堂  『 歲寒圖 』  影印本              1130 × 315

  이 영인본은 완당 선생 후손중에서 한분에게서 받은것으로 낙관한 도장은 원본과 다르지만 틀림없는 印章임을 그 후손에게 들었음.  원래 공무원이던 이 후손이 우리 사장에게 선사한것인데 이 사장은 이 영인본을 그닥지 좋아하지 않어 회사 사무실 내 방에 걸어 놓았었는데 이번에 정리 할 때 내가 가져 가겠다고하니 순순히 그러라고 해서 가져 온 것임.



 

 

 

 

 

 

 

 

 

 

 

          이항성 판화     『 畵佛(화불)』   7 / 10       한지에  Lithograph          280 × 390      1963년작
   우측에는 다정불심(多情佛心)이란 글씨가 보인다. 



 

 

 

 

 

 

 

 

 

 

 

    이제세  작              『 산수화 』                       360 × 78              1978년경



 

 

 

 

 

 

 

 

 

 

 

        이광하  유화          『 여인상 』          하드보드지에 유화                60 × 60           1976년작



 

 

 

 

 

 

 

 

 

 

 

        박진모  유화        『 작품 』    하드보드에 유화         197 × 245                  1979년작



 

 

 

 

 

 

 

 

 

 

 

        청석  박철현        『 소년과 배 』               287 × 250                           1978년작



 

 

 

 

 

 

 

 

 

 

 

           청석          『 어린 佛像 』                         125 × 145                        1977년작

   靑石의 생뚱맞은 畵題   
  
    丁巳年 六月 九日 下午 한가한 시간 불현듯 以石 兄의 畵室을 찾아 갔다가 窓가에 놓인 어린 佛像에 크게 반하여 붓을 들다.  (여기까지는 참하게 써 내려 갔는데)
  未堂 徐廷柱 先生의 詩 보리고비를 함께 곁덜이다.   (여기서 부터 이상해 지고 생뚱맞다.)

          에그머니나 에그머니나
          모란꽃 옆에  새 반달  떠 오르던
          그대들  아리따운 손톱들
          으시시한 이 보리고비 그새를 못 참아서
          무교동으로  중랑교로  사당동으로
          왕대포 집에가
          맨숭  맨숭한 팁이나 바래고 
          박혀 있노니 ..........
          청보리고개에 비  축축히 내리는 해질녁은
          그  손톱들의  그  반달들  뜨는것  보려  나도  인제는
          왕대포  집이나  기웃거리고
          다녀야 도다.
          에그머니나.
 
                 
                                         丁巳年      初夏        靑石  寫

    이그림을 어느날 표구를해서 나를 갖다 주었는데 필경 술에 취하지 않고는 아무리 어린 불상이라고서니 이렇게 불손 할 수야 !   감히  부처님전에 왕대포에, 팁에,  아릿다운 손톱을 노래하다니 ...........

  ※  위에 以石 은 동양화가 林頌羲(1938 ~) 서울미대 졸. 현재 덕성여대 동양화과 교수 를 칭한것임.



 

 

 

 

 

 

 

 

 

 

 

 
          수암  판화             『 시라소니 』             656 / 700                     1973년작

    옛날에 사람 못된것을 시라소니라고 했는데 호랑이 세계에도  시라소니가 있었다.  옛날 옛적엔 전통적인 호랑이를 「 참호랑이 」라고 했고 표범을 「 개호랑이 」라고도 불렀는데  그 참호랑이와 개호랑이가  접해서 낳은  호랑이를 「 시라소니 」 라고 불렀다고 한다.  民畵를 판화로 만든것임.

 




 

 


           

 


 

 

 

 

 

   벼루와 연적은 선대에서 내려온 것



 

 

 

 

 

 

 

 

 

 

 

    복숭아 모양의 벼루          112 × 193 × 27

  어렸을때 부터 이 벼루에 먹을 갈어 썼다.  한참 자라서 벼루를 유심히 보니까 벼루속에 복숭아 모양이조각되 있고 물을 담는곳은 복숭아 잎의 모양새인걸 보고 놀랐다. 너무 어렸을때라 보지도 못 했는가 보다.
  그때부터 애지 중지 보관을 했다. 다른 벼루들도 있었는데 그것들은 다 어디로 갔는지 모른다. 아마 동생들이 챙겼는지....
  많이 갈고 써서 약간 패였다. 벼루갑은 나중에 산것이라 크기가 잘 맞지 않는다.  가히 보물이라고 하겠다.




  

 

 

 

 

 

 

 

 

 

 

 

    靑華白磁  牧丹文 壺             조선시대       125(高)  ×  95(口徑)  ×  85(底徑)    
  뒷부분 주둥이 쪽이 떨어져 나갔다.  그래도 아까운 보물이라고 생각 .
  고 1때 이 도자기는 외할머니가 내게 주신것,  무언가 여기에 담어 주신 생각이 난다.


 

 

 

 

 

 

 

 

 

 

 


    靑華白磁 四君子文 八角 壺                       105 × 65 × 55                  최근작




 

 

 

 

 

 

 

 

 

 

 

    靑畵白磁 四君子文 四角 甁             230 × 30 × 80                          최근작 

 

 

 

 

 

 

 

 

 

 

 

 

 

    백자             240 × 130 × 120                              최근작

  막내 딸이 시집가기전에 회사 높은분이 주었다고 가져온 백자인데 어느 대통령의 휘호가 앞면에 있다.
  나는 그 대통령을 본능적으로 싫어 한다. 아마 그 사장님도 나와 같은 심정으로 이 백자를 딸에게 준것 같다.  우리 집에서는 뒤가 앞이다.   그러다가 진석이가 기어다니고 할때부터 위험하다고 장위에 모셔 놨다.
前 대통령 휘호가 있는 귀중한 도자기가 몇 백년이 지나면 귀한 골동품이 되려나  ?  나는 그 고가의 도자기를 볼일이 없으니 장농 위에 모셔 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