雜記 080218



그림판에서 사인을 하니 잘 안 되네.
내 이름의 한자와 출생년도로 만든 사인.
아마 고등학교 때 만들었던 거 같다.
독서실에서 사인 연습을 한 기억이 있으니.
자율학습이라는 미명 하에 독서실에 가둬놓는다고 해서 공부가 되는 건 아니니
선생님의 방망이 감시에도 연습장 구석에 사인 연습을 하네 어쩌네 하며 시간을 때우곤 했다.

당시 우리 학교는 성적 순으로 나누어
일정 등수 위의 아이들은 학교 독서실에서 밤 10시까지 (반강제) 야간자율학습을 했고,
아래의 아이들은 교실에서 말 그대로 자율학습을 했다.
철없던 나는 교실에서 공부하다가 내킬 때 마음대로 귀가하는 친구들을 부러워했다.
들꽃반이라는 만화를 볼 때까지도 그 차별의 의미를 깨닫지 못했던 어리석은 나.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오기 2008-02-19 21: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광수생각, 들꽃... 예전에 봤던 생각이 납니다.
사인이 멋져요. 띠동갑인지라 출생연도를 쉽게 알아봤어요.^^

조선인 2008-02-19 23: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살청님, 띠동갑이 아니라?
순오기님, 헤헤, 우리는 쥐띠 ^^

가을산 2008-02-20 00: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조선인님 사인 구경 잘했어요. ^^
광수생각... 한때는 참 좋은 연재물이었는데... 그쵸?
저는 이것과 비슷한 주제로 '잡초라는 이름의 풀은 없습니다.'라던 광수생각이 인상 깊었어요.

조선인 2008-02-20 07: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오, 살청님, 동갑내기~ 반가와요.
가을산님, 참 신기한 만화가였어요. 무지하게 보수적이면서 무지하게 따스한.

산사춘 2008-02-23 04: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학교는 고1때부터 성적순으로 국영수는 이동수업을 돌렸어요.
방학 때는 전교등수로 잘라서 새로 반 만들구요.
지.인.용을 무지 강조하더니 우열반이름으로 각각 써먹더군요.
덕분에 어떤 때는 담임수업도 한 번 못들어봤어요.
차별과 순응은 학교에서 아주 구체적으로 잘 갈쳐줘요.

조선인 2008-02-25 2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산사춘님, 끄아, 한 술 더 뜨는 학교를 다니셨군요. 전인교육은 교과서에서나 볼 수 있는 이데아인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