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논문 중 하나인데 제일 재미있게 읽은 부분이다. 한중일 3국에서 젓가락과 숟가락은 비슷하게 시작했는데, 중국과 일본은 숟가락의 사용이 극히 일부 음식 한정 용도로 퇴화한 반면, 한국의 경우 식사 도구로서 젓가락 이상의 굳건한 위상으로 발전했고, 쇠숟가락으로 고유의 형태를 가지게 되었다는 것이다.
책에서는 그 이유를 크게 식문화의 차이와 숭유사상에서 찾아낸다. 중국음식은 기름기가 많아 젓가락으로 밥알이나 국의 건더기만 건저 먹어야 느끼함을 피할 수 있다. 일본밥은 찰기가 많아 굳이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아도 젓가락으로 식사할 수 있고 국물은 그릇째 마시면 되니 숟가락을 생략해도 됐다는 게 한 이유. 반면 한국은 예서의 지침에 따라 숟가락의 사용을 철두철미 지키었을 뿐 아니라, 일품요리 보다는 밥과 국, 탕, 반찬의 구성으로 발전했기에 자연스레 숟가락과 젓가락의 기능이 세분화되었다는 것.
몹시 수긍이 가는 내용이지만 어린 시절 경험을 덧붙여 하나의 이유를 덧붙이고 싶다. 숟가락이 발달한 이유는 사실 단순하다. 숟가락을 많이 사용해야 하니까. 다시 말해 중국이나 일본보다 밥을 많이 먹으니까이다. 고봉밥을 기억하는 세대라면 동감할 거다. 지금보다 2~3배는 컸던 밥공기와 그 위에 공기만큼 솟아올랐던 고봉밥의 위용을. 그게 어디 젓가락으로 깨작깨작 먹을 수 있는 양이었던가. 숟가락으로 푹푹 퍼내도 바닥을 보기 요원했던 고봉밥!!! 1940년대 밥공기 기본 크기가 680ml였던 걸 생각해보라 (지금은 200ml 남짓이다.) 사진 속 조선인에게 숟가락 대신 젓가락으로 밥 먹으라고 해보면 예에 어긋난다 일갈했을까 아니면 누굴 배 골려 죽일 작정이냐 역정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