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콘서트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1
팀 하포드 지음, 김명철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하루라도 경제와 관련없는 삶을 살아갈 수 없다. 식사를 하러갈 때나, 쇼핑을 할 때나, 아니면 교통수단을 이용할 때나 이 모든 것들은 비용과 수익, 선택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경제라는 큰 카테고리 안에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인간이 생각을 할 수 있다는 점은 바로 인간이 경제학적인 동물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IMF와 신자유주의에 기반한 세계화 논의, 그리고 한·미 FTA등이 우리의 관심사가 되면서 이전과 달리 우리 국민들에게 경제라는 것이 남다르게 와닿았다. 경제신문을 읽는다든지, 경제관련서적이나 재테크 서적을 탐독하는 사람들이 하나 둘씩 늘어가면서 경제에 대한 관심이 단순히 호기심의 차원을 넘어서 이제는 뭔가 제대로 된 지식을 원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이 책은 그러한 우리들의 일상생활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양한 경제적인 현상을 지은이 특유의 시각으로 바라보면서 일반 대중들이 쉽게 경제학에 접근하도록 하고 있다. 총 10개의 장으로 나누어 다양한 경제적인 시각을 보여주고 있는데, 우리가 즐겨 마시는 스타벅스 커피의 가격이 결정되는 메카니즘, 슈퍼마켓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격정책, 출퇴근 시간대에 벌어지는 교통해소 방안, 정보의 비대칭성과 관련하여 이야기하는 중고차시장과 샐러리맨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주식 등에 대해 재미난 사례과 결부시켜 희소성의 원칙, 게임 이론, 효율성, 비교우위, 정보의 비대칭성 등 경제적인 이론을 지은이의 해박한 지식으로 풀어내고 있다.

하지만 이 책은 경제학에 관련된 책을 한번 쯤 읽어본 사람이라면 그 개념들을 이해하기는 쉬울 것이나, 처음 경제학 관련 서적들을 읽는 사람들에게는 이 책에 등장하는 각종 경제용어들을 이해하기가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이 책을 번역한 이는 기본적으로 위와 같은 사실들을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이 알고 있을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는 듯 한데, 이왕이면 일정한 용어들에 대해서는 주석을 달아 주었더라면 좀 더 이 책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한다.

그리고 많은 사례들을 가지고 이야기를 전개하다보니 조금은 산만한 느낌도 없지 않으며, 무엇보다 지은이가 주장하는 것은 수많은 경제학이론 중의 일부라는 것으로, 무조건적인 금과옥조처럼 받아들여져서는 안될 것이다. 다른 경제학적 이론에 본다면 지은이와 다른 시각에서도 바라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우리가 경제를 바라보는 시야를 넓히는 또 다른 하나의 관점이라고 보면 좋을 것이다.

누구나가 콘서트 장에 들어갈 때는 오늘 있을 콘서트를 생각하면 마음이 설레이기 마련이다. 이 책도 마찬가지다. 처음 콘서트장 문을 열고 들어가면 친근한 일상생활의 주제로 시작하여 조금은 어려운 경제이론으로 접근하여 경제는 결국 인간과의 소통 문제라는 것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앙코르를 외치며 콘서트 장을 나설 때 느껴지는 뿌듯함을 맛볼 수 있다. 콘서트에 자신의 몸과 마음을 맡기지 않으면 제 아무리 훌륭한 연주라도 단순한 메아리에 지나지 않듯이 이 책에 좀더 적극적으로 다가간다면 분명 좀 더 훌륭한 책읽기가 되지 않을까 한다.

"결국 경제학은 사람에 대한 학문이다. 경제학자들은 설명하기에 매우 난감한 일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경제 성장은 더 나은 개인의 삶에 대한 것이다. 더욱 폭넓게 선택할 수 있고, 덜 두렵고, 덜 힘든 일과 고생을 덜 하는 삶 말이다"(본서 제342쪽)라고 이 책 마지막 부분에서 밝히고 있듯이, 경제학이라는 것도 결국은 사람을 위한 학문이듯이 이 책을 통하여 우리는 경제를 보는 시야를 넓힘과 동시에 세계를 바라보는 시각을 가지게 된다면 더없이 멋진 콘서트가 될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6-10-15 0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읽고 있는데 진도가 잘 안나가네요.
경영,경제에는 문외한이라 늘 제쳐두었거든요.
지난번 밑줄긋기에서 한번 봐서 그런지 오늘은 이해가 잘 되네요.


키노 2006-10-15 10: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경제서나 경영서는 경제적인 용어를 이해해야만 책이 그런대로 읽히는 것 같아요..그런데 이 책은 그런 기본적인 용어에 대한 설명이 없어 처음 읽어보시는 분들에게는 읽는데 시간이 걸릴것 같기도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