퓨전 재즈 (Fusion Jazz) 락&팝과 한솥밥 먹는 재즈
퓨전 레스토랑, 퓨전 요리, 퓨전 섹시, 그리고 “휘리릭 뽕, 퓨전!”을 외치던 제니퍼의 주문까지. 몇 년 전부터 퓨전이라는 말이 이곳저곳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퓨전(Fusion)이란, 융합을 뜻하는 단어로 서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것이 합해져 새로운 것이 됨을 일컫는다. 아마 퓨전 요리를 접해본 분들은 이 단어의 의미를 확실히 이해하고 있을 듯.
음악에서도 퓨전의 쓰임새는 별반 다르지 않다. 다른 두 장르의 음악이 하나 되는 것을 두고 통칭적으로 퓨전이라는 말을 붙인다. 음악에서 퓨전이라는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장르는 재즈이다. 69년에 발표되었던 마일즈 데이비스(Miles Davis)의 [Bitches Brew]가 최초의 퓨전재즈 음반으로 평가받고 있다.





글쓴이는 중학교 때부터 재즈를 들었다. 음반과 라디오를 통해 또 책을 통해 재즈란 무엇인가 알아가던 중이었는데 당시 즐겨듣던 음악들은 흔히 퓨전 재즈로 분류되던 것들이었다. 예를 들면 그로버 워싱턴 주니어(Grover Washington Jr.), 데이브 그루신(Dave Grusin), 리 릿나워(Lee Ritenour), 밥 제임스(Bob James), 데이빗 샌본(David Sanborn), 마이클 프랭스(Michael Franks) 같은 뮤지션들의 음악이다.
대체로 팝적인 가운데 재즈가 스며든 음악들이었다. 나름 퓨전 재즈를 통해 재즈의 안쪽까지 파고들어가고 있었는데 어느 책에선가 [Bitches Brew]가 퓨전 재즈의 문을 연 첫 작품이라는 소개를 접하게 되었다. 그래서 용돈을 모아 레코드점에 가서 앨범을 샀다. 그런데 음반이 만만치 않았다. 2장으로 나누어진 2장짜리 앨범-당시 처음 샀던 더블 앨범이었기도-이었으며 게다가 LP 한 면에 두 세곡 씩 밖에 들어있지 않았다. 게다가 요상한 자켓 디자인도 왠지 범상치 않았다.
턴테이블에 올려놓고 한 1분을 들었을까 나는 그만 플레이어를 꺼버리고 말았다. 투박한 리듬과 성의 없는 듯한 연주, 인내력을 갖게 하는 10분이 훌쩍 넘는 런닝 타임 등 중학생이던 초짜 ‘재즈 캣(Jazz Cat - 재즈 팬을 빗대어 하는 말)에게 [Bitches Brew]는 분명 버거운 작품이었다. 왜 당시 즐겨듣던 퓨전재즈와 [Bitches Brew]의 느낌은 그렇게 달랐던 것일까. 이에 대해 알려면 당시 재즈계 상황을 살짝 들춰봐야한다. 그럼 타임머신을 타고 60년대로 날아가 보자. (슝~)




60년대는 재즈에 있어 혼돈기라 할 수 있다. 이 때부터 재즈 신에는 ‘프리 재즈(Free Jazz)’라는 기존 재즈의 관습을 타파하는 파격적인 음악바람이 솔솔 불기 시작했다. 그리고 역풍으로 불어 닥친 락앤롤의 득세와 대중적 인기몰이는 공들여 쌓아 올려진 재즈라는 탑을 점점 허물고 있었다. 락에 밀리지 않으려면 재즈에 새로운 변화가 필요했다. 당시 재즈계의 마이더스로 통하던 트럼페터 마일즈 데이비스(Miles Davis)는 이러한 상황을 주시하고 있었다. 그 역시 락 음악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당대 최고의 기타 플레이어로 인정받던 지미 헨드릭스(Jimi Hendrix)와 절친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헨드릭스와의 사이는 사적인 문제로 틀어졌지만 마일즈는 재즈와 락을 융합하는 야심 찬 계획을 보다 구체화시키게 되었다.
일렉트릭 피아노에 조 자비눌(Joe Zawinul), 일렉트릭 기타에 존 맥러플린(John McLaughlin) 등을 새롭게 멤버로 맞아 그는 69년 봄 [In A Silent Way]를 완성했으며 6개월 후에는 보다 심혈을 기울인 대작 [Bitches Brew]를 발표하게 되었다. 퓨전 재즈의 본격적인 태동을 알린 문제작으로 재즈사에 기록되어 있는 이 앨범은 사이키델릭 락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무궁무진한 음악적 아이디어의 솔로연주로 채색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하지만 이런 음악 스타일에 대한 재즈계 내부의 ‘저항’도 만만치 않았다. 흑인들은 백인들의 락 음악과 재즈가 결합한 것에 대해 극심한 불만을 드러냈다. 결국 마일즈는 자신의 형제들에게 변절자라는 말까지 들어야했다.




마일즈는 70년대 내내 퓨전 재즈 성향의 음악을 추구해나갔고 다행히도 재즈계는 다시 활력을 되찾았다. '마일즈 사단'의 뮤지션들은 대거 독립하여 자신들만의 퓨전 재즈 그룹을 이끌며 70년대를 '퓨전 재즈 르네상스'로 만들었다. 대표적으로 건반 연주자 칙 코리아(Chick Corea)의 '리턴 투 포에어(Return To Forever)', 드러머 토니 윌리엄스(Tony Williams)의 '라이프타임(Lifetime)' 그리고 키보디스트 조 자비눌과 색소포니스트 웨인 쇼터(Wayne Shorter)의 '웨더 리포트(Weather Report)'와 존 맥러플린의 '마하비시누 오케스트라(Mahavishnu Orchestra)'등이 있었다.
퓨전 재즈의 인기는 8-90년대로 이어졌다. 70년대 퓨전 재즈가 락 혹은 이국적인 리듬과 재즈의 결합이었다면 80년대에는 보다 팝적인 취향으로, 그리고 90년대 들어서는 스무드(Smooth) 스타일로 시대에 맞게 변화해갔다. 특히 건반 연주자 데이브 그루신과 드러머 래리 로젠(Larry Rosen)에 의해 설립된 레이블 GRP는 8-90년대 퓨전 재즈 명반들을 양산하며 퓨전 재즈 팬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었다. 한편 케니 지(Kenny G)같은 스타급 플레이어도 등장하여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점점 퓨전 재즈가 아닌 팝 인스트루멘탈로 선회하여 재즈 팬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이제 퓨전재즈는 재즈 락과 컨템포러리 재즈, 그리고 스무드 재즈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글쓴이가 겪었던 [Bitches Brew]의 에피소드는 퓨전 재즈라는 음악에 대한 의미 파악을 제대로 못한데서 비롯되었던 ‘비화’였다. 한번 들은 퓨전재즈 음반, 열 음반 안 부러우니 부디 글쓴이와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
글 / 핫도그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6-12-30 0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카시오페아랑 티 스퀘어 참 많이 들었는데, 요즘은 좀 가볍다는 느낌이에요. 뭐랄까 진지함과 깊이가 없달까. 갠적으로는 카시오페아 보다는 티 스퀘어를 더 좋아해요. ^^저 위에 애들은 안들어봤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