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소설을 많이 읽기로 다짐하고 의무감에 읽었다.  


  막연히 '더블린 사람들' 같은 책이겠지 했는데, 첫 이야기부터 갑자기 얼굴에서 코가 없어졌대. 엇. 이런 소설이었어? 란 생각에 1차 당황, 어렵게 마련한 겨울 외투를 빼앗긴 원통함에 죽은 주인공이 유령이 되어 이승을 떠도는 '외투' 에선 2차 당황. '외투'까지 읽고 다시 니콜라이 고골의 사진을 보니 앞선 두 소설 분위기...  어쩐지 니콜라이 고골 얼굴과 느낌이 비슷해 납득이 간다.


  읽은지 꽤 돼서 나머지 소설은 기억이 잘 안 나는데, 결국 니콜라이 고골이 말하고 싶었던 건, 가난의 참담한 모습이나, 민중을 가난하게 만든 사회에 대한 비판보다는 가난을 겪는 이들의 남루함과 가난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집단에서 고립되어 외로운 삶이었으리라.


  정말로 가난하면, 남한테 가난한 모습을 들키지 않는 것만이 자존심을 지키는 유일한 방법이란 생각이 들고, 그러다 보면 결국 아무도 만나지 않게 된다. 내가 대학 때 잠깐 그랬다.

  나이 든 자는 몇십억으로도 못 사는 젊음이 있는데 그까짓 돈 상관없지 않냐 할 수 있다. 하지만 돈이 아예 없어봐라. 젊은 몸뚱이 아무 짝에도 쓸모없단 생각이 들고, 성격은 날로 나빠진다. 가난하다면서 사교적인 사람들? 내가 장담하는데 그 사람들 다 믿는 구석이 있는 사람들이다.(제  뇌내 망상이며 개똥철학입니다.ㅋㅋㅋ) 


  니콜라이 고골의 단편소설들을 읽다보면 비루한 인물들의 삶이 때론 우스꽝스럽지만 끝내 애잔하다. 다 읽어보니, 도스토예프스키가 왜 그토록 '외투'를 좋아했는지 조금 알 것만 같았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자냥 2019-12-11 10: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코‘ 읽고서는 처음에 황당했던 기억이 나요. 그런 환상적인(?) 이야기일 줄은 꿈에도 몰라서 ㅎㅎ 그래도 ‘외투‘는 참 좋아합니다. 읽고 나서 한참 마음이 아팠던 기억이 나네요. 휴.

케이 2019-12-11 16:40   좋아요 0 | URL
슬픈 동화? 같은 이야기였어요. 둘다. 아카기 였나요? 하여튼 그 소설 ‘외투‘의 주인공이 외투를 지나치게 애지중지할 때부터 뭔가 잘못되리라 생각은 했지만 이궁... 그렇게 허무하게 뺏길 줄이야. 넘 불쌍했어요.